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내 중견기업의 수출 다변화와 수출 역량 강화를 위한 정부 맞춤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이종태 대한상공회의소 중견기업위원장(퍼시스 회장)은 17일 서울 상의회관에서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제30차 대한상의 중견기업위원회'에서 이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이 위원장은 “수출의존도가 높고 글로벌 가치사슬과 밀접하게 연결된 중견기업들이 미국발 관세전쟁에 따른 통상환경 변화를 가장 먼저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대한상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 제조 중견기업 중 70% 이상이 미국 관세 정책의 직·간접 영향권에 속해있다.
이날 상의 중견기업위원들은 미국과의 전략적 협상으로 관세율 조정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또 △정부 당국의 긴밀한 정보 공유 △세액공제 등 생산비용 절감 지원 △대체 수출시장 확보 등 단기 위기 극복과 중장기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개선 과제를 건의했다.
이에 대해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급격한 통상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민관이 '한 팀, 한 목소리(원 팀, 원 보이스)'의 공동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최근 정부가 발표한 자동차 긴급지원방안 등 관세 조치에 따른 취약 부문과 업종에 대한 차질 없는 지원에 만전을 기해 중견기업이 통상 변화에도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범정부적 역량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종태 중견기업위원장, 오원석 코리아에프티 회장, 김성열 슈페리어 부회장, 이준환 케이씨티시 부회장 등 중견기업 대표·임원과 이호준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상근부회장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