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은 박영민 이비인후과 교수 연구팀이 편평상피세포암종의 전암 단계에서 침습성 암으로 진행되는 과정을 규명하고, 항암 면역 반응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유전자 역할을 밝혀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국 USC 두경부센터의 Dechen Lin 교수, 남제현 박사 등과의 국제 공동연구로 진행됐다.
편평상피세포암종은 상부소화기도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암종이다. 주변 조직으로 공격적으로 침습하여 림프절 전이를 잘 일으키고, 표준 치료에 대한 반응이 좋지 않아 치료 결과도 좋지 않다. 두경부암 병소를 빠르게 찾아 예방함이 이상적이나 안타깝게도 두경부암이 발생하기 전 전암 병변의 치료 방법은 개발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두경부암 조기 발생 과정의 기전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연구팀은 총 72명에 달하는 편평상피세포 암환자로부터 323개의 다중 영역 종양 샘플을 추출해 분석한 결과, MLL3 유전자 돌연변이가 초기 편평 상피가 신생물로 진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밝혀냈다.
MLL3 유전자의 기능이 상실되면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며 종양 형성을 유도하고, 'MLL3/GRHL2' 단백질 복합체가 항암 면역 기능과 림프구 침윤 조절에 직접 관여한다는 사실도 함께 규명됐다. 이는 기존 면역항암제에 대한 반응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단서다. 난치성 두경부암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신규 면역 기반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열어준 것으로 평가된다.

연구를 주도한 박영민 교수와 남제현 박사는 “MLL3 유전자 돌연변이가 난치성 두경부암 환자에게 사용되는 면역항암제 효과를 낮추는 기전을 동물 모델로 규명해 난치성 두경부암 환자 생존율을 높이고 새로운 면역기반 치료제 개발에 단초를 마련했다는 점에 연구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논문은 면역학과 세포생물학 기초 및 중개 연구 분야 SCIE 학술지인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IF 12.6) 최신호에 'MLL3/GRLH2의 편평상피세포암의 암 발생 및 항 종양 면역 조절 기전 규명'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됐다.
송혜영 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