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위성영상을 활용한 산불 피해 복구 지원에 나섰다. 단순 영상 제공을 넘어 다양한 소스와 매뉴얼까지 결합해 실무 활용도를 높였다. 위성을 활용한 재난 대응이 점차 정밀화되고 있다는 평가다.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지난 달 말 발생한 대형 산불에 대응해 '긴급 공간정보'를 지자체에 제공 중이라고 15일 밝혔다. 지리정보원은 국토위성영상과 항공사진, 수치지형도, 해외위성영상 등을 활용해 피해 지역을 정밀 분석하고 지자체 복구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국토위성은 흑백 0.5미터, 컬러 2미터 수준의 고해상도 영상을 제공한다. 접근이 어려운 산불·홍수·지진 지역도 영상 촬영을 통해 피해 현황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확보된 영상은 공간정보 분석 과정을 거쳐 지자체와 산림청에 전달된다. 영상 자료는 단일 소스가 아닌 다양한 영상과 도면을 결합한 형태로 입체적 피해분석이 가능하다.
아울러 국토지리정보원은 영상 정보 외에도 재난 대응을 위한 실무 활용 자료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 '긴급 공간정보 사용자 매뉴얼'과 '사례집'을 제작해 공개 중이며, 지자체 담당자가 공간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조우석 국토지리정보원 원장은 “기후변화로 인해 국내에서도 대형 재난이 빈번해지는 만큼 공간정보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피해 지역 복구를 빠르고 정확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국토위성 영상 제공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산불 복구 지원 사례는 공공위성을 활용한 재난 대응이 단순 정보 제공에서 벗어나 실무 매뉴얼과 통합분석까지 포괄하는 구조로 진화하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공간정보의 실효적 활용을 뒷받침하는 자료 체계는 향후 재난 대응에서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긴급 공간정보 제공 체계는 2020년부터 운영되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다양한 유형의 재난 발생 시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대응에 나서며, 국내뿐 아니라 해외 재난 지역에도 영상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실제 지난해 2월 튀르키예 지진 당시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KDRT)를 통해 국토위성 영상을 제공한 바 있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