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내부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 도구의 업무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른바 'MZ세대' 직원부터 실·국장급 간부까지 자발적으로 교육에 참여하면서 AI 역량 강화 흐름이 가속화되는 분위기다.
13일 서울시에 따르면, 최근 진행된 생성형 AI 도구 활용 교육에 예상보다 많은 인원이 몰려 일부 교육은 조기 마감되기도 했다. AI를 통한 행정업무 자동화와 효율화에 대한 실무 직원들의 수요가 높아진 데 따른 현상으로 풀이된다.
현업 부서에서는 대량의 문서 정리, 반복적 민원 응대, 야간 업무 대응 등에 AI 도구를 접목할 수 있을지 등을 주로 파악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해부터 단계적으로 AI 교육을 도입해 운영해 왔다. 지난 3일에도 마이크로소프트(MS)와 기업 연계 교육을 통해 △MS 코파일럿을 활용한 AI 문서작성 등 체험 △주제별 상담과 외국인 민원 AI 대응 △광학문자인식(OCR) 시스템을 활용한 공공문서 분석 AI 서비스 △야간·휴일 접수 민원 보고서 AI 작성 체험 △기관 내 오픈 데이터 AI 검색 서비스 등 관련 기업 AI 서비스를 공무원들이 직접 체험해보는 시간을 마련했다. 이날 약 200여명의 인원이 참여했다.
서울시 디지털도시국 관계자는 “AI 민원답변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많고, 행정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직원들이 스스로 확인했다”며 “공직 특유의 단순, 반복적 업무에 대한 혁신 솔루션 도입으로 업무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피드백이 많았다”고 전했다.
관심과 활용도가 높아지자 시는 개인이 이용할 수 있는 유료 AI 서비스 계정을 대폭 늘리는 방식으로 확대 개편했다. 이와 함께 연간 약 5000만원 수준이던 신기술 이용료 예산도 올해는 총 1억원으로 증액해 추가경정예산에 반영할 계획이다. 보안 이슈와 접속 안정성 확보를 위한 조치다.
AI 기술의 공공 활용이 빠르게 확산되는 만큼, 개인정보 보호와 민감 정보 처리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AI 교육 과정에 보안 기본 수칙과 정보보호 가이드를 포함하고, 별도의 내부 보안 교육도 강화할 방침이다.
박춘식 아주대 사이버보안학과 교수는 “현업 공무원들은 AI 활용 측면에서 공공 서비스의 개발자이자 이용자인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며 “획일적 가이드라인보다 부서별, 업무별 활용사례와 부작용, 영향력 등을 모두 고려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