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3~5월 서울 지역 봄철 축제에 약 1959만 명이 모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서울시는 자치구·소방·경찰 등 유관기관과 함께 봄철 지역 축제의 안전관리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우선 시는 3월 28일부터 6월 1일까지를 '봄철 지역 축제 특별대책기간'으로 정하고 봄철 지역 축제의 인파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특히 통신 데이터와 대중교통 이용량 등을 분석해 주요 지역의 인구 밀집도를 확인할 수 있는 '실시간 도시데이터', 영상분석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인파감지시스템'을 활용해 위험 지역의 모니터링도 강화한다.
인파감지 시스템은 단위면적당 인원수를 실시간 측정할 수 있는 폐쇄회로(CC)TV를 활용해 위험징후를 미리 발견·예방하는 시스템이다. 인파감지 CCTV는 서울 전역 85개 지역에 1023대 설치돼 있다.
석촌호수에서 열리는 송파구 '호수벚꽃축제'에는 100만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시는 실시간으로 구간별 인파 밀집도를 확인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장비와 드론을 이용해 축제의 인파 안전관리를 지원할 계획이다.
휴대폰에서 나오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IoT 장비를 설치하고, 여기서 수집된 정보 분석을 통해 축제장에 온 참여자 수를 집계해 밀집도를 분석한다. 인파 밀집도가 올라갈 경우 안전관리자에게 알림 문자를 보내고 드론을 띄워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대응할 예정이다.
'여의도 봄꽃축제에는 개화시기 일 최대 80만명, 관람 예상인원 300만 명이 예상된다. 시는 재난안전현장상황실(재난버스)을 여의도한강공원에 배치해 현장 안전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한병용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봄철 지역 축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가운데, 도심 곳곳에서 대규모 집회가 이어지고 있어 어느때보다 인파 안전관리가 중요한 상황”이라면서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 지정을 앞두고 있는 만큼, 봄꽃 축제와 집회가 동시에 열리는 만일의 상황에도 철저히 대비하겠다”라고 말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