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첨단융복합 기반 신산업 육성'을 기치로 내걸고 농림식품 과학기술을 지원한다. 지난 5년 간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R&D) 추진에 중점을 뒀지만, 오는 2029년까지 글로벌 기술경쟁력 확보와 민간 산업 활성화를 핵심 목표로 삼고 이를 실행한다는 계획이다.
30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4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종합계획은 5년마다 농식품부와 농촌진흥청, 산림청이 공동 수립하는 R&D 최상위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우선 국가 고유임무 기반의 임무지향형 중장기·대형 사업체계로 R&D 투자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부처·타분야 융복합 연구를 발굴, 국제협력 등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세계 최고수준인 농림식품 기술을 오는 2029년까지 15개까지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R&D 추진체계도 효율적으로 개선한다. 기획 단계별 농식품부·농진청 공동기획단 역할을 확대하고 안정적인 사업 관리와 성과 확산을 위해 전문기관인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역량과 기능을 지속적으로 정비한다.
R&D 혁신 인프라 조성을 위해선 농림식품분야 연구인력 역량 제고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또 기술혁신형 기업 지원, 지역 R&D 네트워크 확대를 통해 민간·현장 중심의 R&D를 활성화한다.
민간주도의 연구성과 창출·확산 체계를 갖춰 기술금융과 연계를 강화하는 등 기술기반의 창업 활성화 지원도 늘린다. 1억원 이상 대형 기술이전 건수를 향후 5년간 62건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지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대형 기술이전 건수는 48건이다.
기술전략부문 중점 연구분야로는 농림식품산업 미래성장, 기후변화·재해 대응, 고품질 안전 농식품, 식량안보 강화 및 수급안정, 지속가능 농산촌 등 5대 전략분야 16대 중점 추진과제를 선정했다. 특히 디지털·그린바이오·푸드테크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생산체계 혁신, 고부가가치화를 촉진하고 반려동물 관련 산업 등 신 성장산 산업 지원을 집중한다.
김정욱 농식품부 농식품혁신정책관은 “농업 전·후방 분야 전반에 첨단기술 기반 세계적인 신산업 육성을 선도하고, 기후변화, 식량안보, 고령화 등 농업이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과학기술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민간과 지역이 협력하여 현장의 문제를 찾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연구개발(R&D) 성과를 발굴·확산하는 동시에, 국제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문연구인력 양성 및 국제교류 협력을 활성화하는 등 적극적인 연구개발(R&D) 투자와 지원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