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더 정교해진 AI 분석·예측으로 '데이터기반 디지털 물류' 이끈다

Photo Image
오구일 삼성SDS 물류사업부장(부사장)이 26일 진행된 '첼로스퀘어 콘퍼런스 2025'에서 환영사를 전하고 있다. 삼성SDS 제공

삼성SDS가 26일 잠실캠퍼스에서 '글로벌 공급망 혼란의 해법, 데이터 기반 물류 혁신'이란 주제로 '첼로스퀘어 콘퍼런스 2025'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디지털물류 플랫폼 첼로스퀘어에 구현된 분석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출항일 및 도착 예정일 예측'이나 '환적 및 하역 항구 이슈 조기 감지' 등 더욱 정교해진 서비스와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한 물류시황 정보 및 분석 리포트 등 고객 편의 서비스를 소개하는 자리였다.

삼성SDS는 이 자리에 화주와 이커머스 셀러, 파트너사 등 업계 관계자 등 600명을 초청해 글로벌 정세의 변화와 시장 트렌드, 공급망 리스크 해결을 위한 디지털 전환 해법 등에 대해 논의했다.


최근 글로벌 공급망은 △지정학적 리스크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정책 △글로벌 해운동맹 재편 등 항공 및 해상 물류 전반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물류에 영향을 미치는 리스크를 빠르게 감지하고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첼로스퀘어는 축적된 운영 데이터와 AI 기법을 활용해 최적화된 물류 운영 전략을 제시하고 수출입 물동의 실시간 위치·지연 시간을 자동 예측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삼성SDS는 선사가 제공하는 화물의 도착 예정일(ETA) 정보에만 의존하지 않고 분석형 AI 기술을 활용해 도착예정시간 예측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선박의 이동시간 및 항만 체류시간은 물론 '항구별 혼잡도'까지 변수에 포함해 예측 정보의 정확도를 높였다.

화물 선적 예약 후 변동 가능성이 있는 출항일(ETD)을 예측하는 서비스도 추가했다. 이로 인해 화물의 선적부터 최종 도착까지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예측하여 선제 대응하는 체계를 구축했다.

이밖에 첼로스퀘어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글로벌 물류 리스크를 센싱하고 위험도를 판단한다.

고객은 언제든 챗GPT 스토어(GPTs)의 첼로스퀘어 채널에 접속해 견적조회, 적재 최적화, 화물 추적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 최근 SCFI(상하이 컨테이너 운임 지수) 등 종합지수를 분석하고 관련 리포트를 생성·제공하는 서비스가 추가됐다.

오구일 삼성SDS 물류사업부장(부사장)은 “심화되는 글로벌 변동성으로 인해 물류 비즈니스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고객이 많다”며 “빠르고 정확한 글로벌 물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AI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데이터 분석기술을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주요 행사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