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병원·고대구로병원·아주대병원, 개방형 실험실 사업 주관기관 선정

보건복지부가 양산부산대병원과 인하대병원, 고려대 구로병원, 동국대 일산병원, 아주대병원, 이대목동병원 등 6개 병원을 개방형 실험실 운영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복지부는 병원 우수 자원을 개방하소 임상의사 아이디어와 창업기업 기술·제품을 연결하기 위해 2019년부터 개방형 실험실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 6년간 1427명의 임상의사가 자문을 제공했고, 606개 바이오헬스 창업기업이 병원 연구시설 및 임상의 컨설팅 등 지원받았다. 대표적으로 디앤씨바이오테크놀로지가 아주대병원과 새로운 소변검사기를 개발, 25개 특허를 등록·출원했다.

Photo Image
개방형 실험실 운영사업 개요(자료=보건복지부)

올해 신규 공모는 협업 기반 조성형과 협업 성과 창출형으로 유형을 나눴다. 병원과 산업계 간 기술사업화 협력 기반을 확대 조성하고, 병원-기업 간 협업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다. 복지부는 이번 주관기관 선정에 병원이 보유한 인프라와 사업 추진 역량, 창업기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 계획 구체성을 중점 평가했다.


복지부는 6개 병원에 2년간 병원당 최대 6억5000만원을 제공한다. 병원은 개방형 실험실을 마련해 창업기업과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을 이끈다.

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바이오헬스 산업에서 병원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면서 “병원과 협력을 필요로 하는 산업계 수요를 더욱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임상의사와 창업기업 간 공동연구 등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