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영국의 원자력 전문가가 모여 차세대 원자력 기술 발전 방향과 국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한국공학한림원은 19일 서울 조선호텔에서 영국왕립공학원과 '2025 한-영 클린 에너지 워크숍'을 개최했다.
올해 주제는 지난해에 이어 '원자력'으로 수 이온 국립 원자력 기술 아카데미 명예회장과 김종우 두산에너빌리티 상무(소형 모듈 원자로(SMR) 사업개발 총괄)가 기조연설에 나섰다.
이온 회장은 영국의 원자력 정책 방향과 차세대 원자로 개발 전략을 소개하며, 한국과 영국 간 협력 확대 방안을 제시했다. 수 이온 박사는 영국 원자력 기술개발과 정책 수립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온 원자력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다.
김 상무는 SMR이 차세대 원자력 시장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글로벌 확장 가능성에 대해 발표하며, 양국 협력의 기회와 가능성을 제시했다. 김 상무는 SMR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 원자력 기술의 국제적 확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어진 세션 1에서는 원자력 기술 및 산업 발전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팀 아브람 맨체스터대 교수는 영국의 원전 건설 현황과 과제를 소개했고 정범진 경희대학교 교수는 한국 원자력의 발전 현황과 도전과제에 대해 발표했다.
세션 2에서는 원자력 정책 및 규제 협력을 다뤘다. 임채영 한국원자력 연구원 본부장은 한영 원자력 협력 가능성과 방향을 설명했으며, 피오나 레이먼트 영국 원자력연구소장은 영국과 한국의 원자력 정책 조율 및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세션 3에서는 원자력 인력 양성과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사라 윌리엄슨 'Laing O'Rourke' 프로그램 디렉터는 영국의 원자력 건설 분야 기술 및 역량에 대한 영국의 상황을 설명했다. 로렌스 윌리엄스 방고르대학교 교수는 원자력 안전 규제 조화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문주현 단국대학교 교수는 국내 원자력 인력 개발과 안전 규정의 도전과제를 제시했다.
윤의준 한국공학한림원 회장은 “원자력 기술은 탄소중립 시대를 대비한 핵심 에너지원으로, 한-영 양국이 협력한다면 더 큰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 “오늘의 논의가 실질적 프로젝트로 이어지고, 한-영 양국이 지속 가능한 청정에너지 미래를 함께 만들어 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영국왕립공학원은 1976년 설립된 영국의 공학계 최고 권위 왕립학술기관이다. 공학한림원은 영국왕립공학원과 2021년부터 워크숍과 포럼을 통해 기술·정보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