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처음으로 자동차 관세율을 25%로 공식화했다. 반도체에 대해서도 “25%로 시작할 수 있다”며 “더 인상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것처럼 자동차에 25%, 반도체에 25% 이상 관세를 부과하면 국산 자동차·반도체의 미국 시장 경쟁력은 약화될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 수출 핵심 품목에 대한 관세가 현실화되면 대미 수출 타격이 우려된다.
단기적으로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리고, 장기적으로는 대미 수출의존도를 낮추는 등 다각적 대책 마련이 불가피하게 됐다.
지난 해 전체 자동차 수출(683억 달러)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50.8%로, 전년(47.1%) 대비 증가했다.
관세가 부과되면 수익 감소는 불가피하다.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한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면 대미 자동차 수출이 18.59%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연간 총 수출액도 약 63억5778만 달러(약 9조2000억 원)까지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국내 생산량의 90% 이상을 미국으로 수출하는 GM 한국 사업장은 25% 관세가 부과될 경우, 사실상 대미 수출길이 막힐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공장 가동률을 높여 현지 생산을 늘려 수출 감소분을 상쇄할 수 있지만, 한국GM은 현대차그룹과 같은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융합기술원 원장은 “현대차·기아는 기존 앨라바마·조지아 공장 생산량 110만대에 더해 조지아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신공장에서 고부가 주요 차종 중심으로 50만대 이상 끌어올려 대응하는 시나리오 등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반도체 타격도 불가피해졌다. 반도체 관세 부과가 현실화할 경우 국내 기업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우리나라와 중국에 메모리 반도체 생산 거점을 운영, 미국으로 수출되는 제품은 관세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SK하이닉스는 미국 인디애나주에 고대역폭메모리(HBM) 패키징 생산 기지를 건설하고 있지만, 미국에서 후공정을 하더라도 제조 자체가 해외에서 이뤄지는 만큼 관세 부과 여부가 관건”이라며 “미국 행정부, 빅테크와 협력 강화를 통해 기민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종덕 대외경제정책연구 무역통상안보실장은 “자동차와 반도체 등 핵심 품목별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석유화학은 캐나다 관세가 25%에서 그 이하로 조정된 경우도 있는 데 정부 협력을 포함해 가급적 빠르게 대응 매뉴얼을 마련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지웅 기자 jw0316@etnews.com, 이호길 기자 eagle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