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벤처기업부는 '2025년 동네상권발전소 지원사업'에 참여할 (기초)지자체·상인·상권기획자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을 모집한다고 4일 밝혔다.
동네상권발전소 지원사업은 지역상인과 주민들이 체감하는 동네상권 문제를 해결하고, 상권주체들이 주도해 상권 비즈니스 전략을 연구·기획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3년 처음 도입돼 지금까지 총 25개 동네상권을 지원해 왔다.
올해는 상권활성화 사업 연계를 위한 전략수립형과 함께, 전략 수립 이전에 구성원 간 조직화가 미비한 경우가 많은 동네상권의 특성을 반영해 상인 간 소통 활성화를 통해 조직화를 돕는 네트워크형을 신설했다.
이번 지원사업은 동네상권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된다. 중기부는 올해 총 13개 내외 동네상권 컨소시엄을 선정해 지원할 계획이다.
먼저 전략수립형은 동네상권의 장기적인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상권 활성화 사업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상권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로컬 아카이빙을 진행하며, 5개년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을 지원한다. 올해는 총 8개 내외의 상권 컨소시엄이 선정되며, 최대 1억5000만원(국비+지방비)이 지원된다. 지원받기 위해서는 상권기획자 등 주관기관이 지자체 및 상인·주민과 컨소시엄을 구성해야 하며, 최소 30개 이상의 점포를 포함한 예비상권구역을 설정해야 한다.
올해 신설된 네트워크형은 상대적으로 조직화가 부족한 골목 상권을 대상으로 한다. 소규모 상인들의 네트워크 활성화 및 조직화를 지원하며, 향후 골목형상점가 지정과 연계될 수 있도록 돕는다. 총 5개 내외의 컨소시엄을 선정해 최대 3000만원을 지원한다. 지원받기 위해서는 상권기획자 등 주관기관이 상인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해야 하며, 최소 15개(인구감소·관심지역의 경우 10개) 이상 점포를 포함한 예비상권구역을 설정해야 한다. 전략수립형과 달리 지자체의 참여는 필수사항이 아니다.
이대건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관은 “지역 소멸 위기와 골목상권 쇠퇴로 인해 조직화 자체가 어려운 상권이 많다”며 “이번 지원사업을 통해 대규모 상권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골목상권까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중기부는 이번 사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오는 13일 오후 2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대전교육장에서 사업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사업 신청은 오는 5일부터 3월 12일까지 진행되며, 구체적인 공고 내용은 중기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윤호 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