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19일 “공급망 리스크가 현실화된 100대 첨단소재를 발굴해 핵심 원천기술을 조속히 확보하고 향후 10년을 대비해 100대 미래 소재 원천기술을 선제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한 권한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첨단소재 연구개발(R&D) 발전전략'을 공개하며 이와 같이 밝혔다.
한 대행은 “반도체 이차전지부터 바이오와 양자에 이르기까지 첨단 소재는 미래산업의 근간이 되는 핵심 요소”라면서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 환경 속에서 우리 전략 산업들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경제 안보를 담보하기 위해서는 첨단소재 기술을 선점해 핵심 공급망 주도권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글로벌 공급망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100대 첨단소재(5년 내외), 100대 미래소재(10년 이상)로 구분하는 투트랙 R&D 체계로 강화한다.
특정 국가에 높은 대외 의존도 등으로 공급망 리스크가 높은 100대 첨단소재를 발굴하고, 향후 5년 내외로 조속한 원천기술을 확보해 사업화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높여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10년 이상 중장기 미래 기술혁신에도 선제적으로 대비해 국가전략기술 분야 중심으로 100대 미래소재에 대한 R&D를 차질없이 지원해 10년 이후의 초격차 원천기술 확보도 병행해 나간다.
첨단소재 원천기술 성과가 다양한 분야로 활용·확산될 수 있도록 첨단소재 기술 성장지원 체계도 새롭게 구축한다.
출연연을 중심으로 소재 분야 연구자와 수요·공급기업이 참여하는 '첨단소재 기술 성장 협의체'를 구성해 우리나라 소재 원천기술 현안 대응력을 높인다.
또 첨단소재 원천기술 성장을 저해하는 기술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원천기술 매칭·고도화, 스케일업 기술 난제 해결 등을 지원하는 첨단소재 원천기술 성장 R&D 프로그램도 추진된다.
특히 원천기술 사업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 기획 단계에서 기업 참여를 높이고, R&D 단계에서는 지재권 확보 지원, 부처 간 이어달리기 협력사업 등 소재 연구 R&D 프로세스도 개선할 방침이다.
첨단 연구를 위한 소재 기술혁신 생태계도 조성한다. 인공지능(AI) 활용 연구를 소재 연구에 도입하기 위한 소재 연구 AI·데이터 생태계 플랫폼 기능을 확대하고, 소재 전문가, AI 전문가 등이 공동으로 연구하는 소재 연구 허브(HUB) 사업을 지속 추진한다.
디지털 연구 방법론에 특화된 소재 연구 인력양성, 기업 현장 신진 연구인력 지원도 강화하고, 젊은 과학자가 글로벌 연구자와 협력하는 기회도 확대하는 '글로벌 영커넥트' 사업도 추진한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 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