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0~11월에 '딥페이크 가짜뉴스 대응'을 주제로 디지털 공론장을 통해 국민들의 의견을 집중적으로 공론화한 결과를 발표했다.
총 597명의 국민이 참여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41.9%는 딥페이크 가짜뉴스를 판별할 수 없다고 밝혔다.
딥페이크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기존 이미지, 동영상, 음성을 조작하거나 합성해 마치 실제처럼 보이도록 만든 콘텐츠를 의미한다.
응답자의 대부분인 94.5%는 가짜뉴스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며, 딥페이크를 활용한 가짜뉴스가 일반적 가짜뉴스보다 부정적 영향이 더 심각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84.9%에 달했다.
딥페이크 가짜뉴스를 접해본 응답자는 39%였으며, 딥페이크 가짜뉴스의 악영향으로 가장 우려되는 점은 인격적 피해가 48.2%로 가장 높았다.
아울러 딥페이크 확산 원인으로 법·제도 미비(36.5%)를 지적했다. 피해 예방을 위한 효과적 방법으로 강력한 입법과 정책(57.6%), 정부의 정책으로 '범죄자에 대한 처벌강화(36.9%)'를 요구했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딥페이크 가짜뉴스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파급효과가 크고, 기술 발전에 따라 사실과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에 국민들이 공감하고 있다”며 “신속히 법·제도를 정비할 수 있도록 방송통신위원회와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