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AI 혁신, 기후위기컨트롤타워 가동…물가안정·취약계층 지원”

Photo Image
환경부 손옥주 기획조정실장이 1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윤석열 정부 2년 반의 환경정책 성과 및 앞으로의 정책 추진 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환경부가 인공지능(AI) 혁신 기술에 기반해 기후위기 대응전략을 재정비하고, 기후대응 컨트롤타워인 '기후위기대응단'을 신설한다.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달성하는 동시에 폭우·태풍·가뭄·폭염·혹한 등 재해·재난에 대응해 물가안정, 취약계층 지원을 강화한다는 취지다.

환경부는 1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윤석열 정부의 환경정책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올해는 시간당 146㎜에 달하는 강우 관측 역사상 최대 강도의 비가 내렸고 일부 지역에서는 500년 빈도를 상회하는 극한 폭우가 발생했다. 한편, 2022년에는 광주·전남에서 227일간 극심한 가뭄이 발생했다.

환경부는 폭우·가뭄 등 일상화된 기후재난으로부터 국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AI 등 과학기술에 기반한 기후위기 대응전략 신속 추진할 계획이다.

AI 기술력이 곧 국가 경쟁력의 지표가 되고 있는 만큼 범부처 차원에서 AI 혁신에 기반한 기후위기 대응전략을 재정비한다. 기후대응 컨트롤타워인 '기후위기대응단'을 신설해 속도감 있는 추진과 가시적인 성과 창출을 지원한다.

안세창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기후업무는 그간 기후정책관실에서 주로 담당해 왔는데 환경부 내 부서 전반에 걸쳐 소속 산하기관까지 관련된 이슈다. 일단 기후국 직원이 아닌 별도 인력을 7명 충원해 (가동하겠다)”라면서 “산업체와도 협업해 연구개발(R&D)을 하고 온실가스 감축수단 등 신규 과제도 발굴할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부터 2028년까지 기후재난, 농·수산물 생산변화 등 기후위기 정보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기후위기 적응정보 통합플랫폼을 구축한다. 기후물가 안정화 등을 포함한 제4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대책(2026~2030)을 마련해 기후변화 취약계층을 중점 지원, 기후위기 적응 양극화를 해소한다.

인구 감소, 고령화로 소멸되고 있는 지역이 다시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획일적 환경규제가 아닌 지역의 여건과 책임에 기반한 맞춤형 규제 적용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환경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계획이다.

한편, 환경부는 현 정부 출범 이후 지난 2년 6개월 동안 기후테크를 융합해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동시에 기후재해에 대응했고, 녹색산업 해외진출 지원도 확대했다. 원전, 재생에너지 등 무탄소 발전 확대, 저탄소 산업 전환, 무공해차 보급 확대 등 감축계획을 추진한 결과 2022년 -3.5%, 2023년 -4.4% 등 2년 연속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했다.

손옥주 환경부 기획조정실장은 “17개국에 민관 수주지원단을 파견한 결과 오만 그린수소 부문, 아랍에미리트 해수담수화 부문 등 해외 녹색시장을 선점해 지난해 수주·수출실적 20조원을 달성했다”면서 “올해에는 10월 기준으로 20조 원을 이미 돌파했다”고 말했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