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현의 테크와 사람] 〈61〉우리 AI를 우리 데이터센터에서 키우자

Photo Image
김장현 성균관대 교수

최근 한 연구팀은 글로벌 기업인 A사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에서 갑작스런 이용 정지를 당했다. A사는 이용자가 학습시킨 데이터에 선거 관련 내용이 들어있어 편향된 데이터를 학습시킬 우려가 있다며 계정을 동결시켰지만, 데이터는 특정 정당에 대한 호불호와는 관련없는 내용이었다.

그리고 만약 정치적인 내용이 들어있었다 해도, 그것을 근거로 서비스를 차단한다면 표현의 자유를 침해할 여지가 있었다. 이러한 부분을 항의하기 위해 고객서비스를 담당하는 부서에 연락도 해 봤지만, 아무런 답장도 없고 해명할 방법도 없어 난감해 하는 중이다.

해외 클라우드와 생성형 AI 서비스를 이용하는 추세가 강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용 과정에서 갑작스러운 계정 정지나 서비스 중단 등이 있을 경우 이용자는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는 형편이다. 해외에 본사를 둔 클라우드, 생성형 AI 서비스 이용자들이 구제받을 수 있는 방안을 제도화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런 제도가 마련되어도 우리 정부의 행정력이 미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IDC라 불리우는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이뤄진다. 우리나라에도 150여개의 데이터센터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절반 이상이 공공부문의 것이고 민간 데이터센터는 일부에 불과하다. 게다가 다수의 데이터센터는 수도권에 몰려있다. 앞으로 들어설 데이터센터들은 높은 땅값과 건축비, 전력 설비 증설, 지역 주민의 반발 등 많은 난관을 이겨내야 한다.

게다가 데이터센터와 그것을 기반으로 한 생성형 AI서비스 등은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 에너지집약적 산업이다. 데이터센터가 하나 건립될 때마다 그곳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에너지 소모와 기기 발열에 대처하기 위한 발전시설, 송전시설, 냉각시설 등의 문제가 제기된다. 환경 문제, 에너지 문제에 직결되다 보니 정부와 국회는 규제할 유혹을 느끼기 쉽다.

해외 동향을 살펴보자. 미국은 캘리포니아주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여전히 데이터센터를 첨단 산업으로 인식하고 지원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데이터센터 운영자들이 에너지 효율성 목표를 달성하면 기후변화세를 90%까지 감면받을 수 있다.

데이터센터가 중요한 것은 다양한 AI기반 서비스의 둥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개별 서버에서는 AI반도체가 핵심 역할을 하겠지만, 그러한 서버가 모여있는 데이터센터는 앞으로 등장할 무궁무진한 AI서비스들이 24시간 안정적으로 작동해야 하는 곳이고, 문제가 있으면 신속한 고객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곳들이다. 발열과 전력 소모 등의 문제는 재생에너지 적극 활용을 통해 해결하고, 데이터센터 건립을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

정부와 국회는 규제 유혹에 굴복할게 아니라,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한 경제 생태계 형성을 지원하면서 이용자 후생의 증대와 환경 보호를 위한 재생가능 에너지 경제로의 전환을 추구해야 한다. 우리 나라가 아시아 데이터 허브로서의 위상을 갖추지 못한다면, AI시대 선도국가로 발돋움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주지해야 한다. 우리 국민의 프라이버시와 데이터 주권의 회복을 위해 자국 기업의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생성형AI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시기다.

김장현 성균관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