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성능·안전 모두 챙긴 자가발전형 수소 생산 시스템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이 '그린 수소' 생산 한계를 극복할 새로운 수소 생산 시스템을 개발했다. 수용성 전해질을 사용한 물분해 시스템으로 화재 위험을 차단하고 안정적인 수소 생산의 길을 열었다.

KAIST는 강정구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아연-공기전지 기반 자가발전형 수소 생산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공기전지는 공기 중 산소를 흡수해 산화제로 사용하는 일차전지다. 수명이 긴 것이 장점이다.

물 분해를 통한 수소 생산에 충분한 전압(1.23V 이상)을 방출할 수 있는 공기전지가 동력원으로 주목받는데, 충분한 용량 구현을 위해 귀금속 촉매를 사용해야 하고, 장시간 충·방전시 촉매 소재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물 분해 반응(산소·수소 발생)에 효과적인 촉매, 반복적인 아연-공기전지 전극 충·방전 반응(산소 환원, 산소 발생)에 안정적인 물질 개발이 필수다.

Photo Image
복합 기능성 촉매소재 (G-SHELL)의 합성 과정과 이종 접합구조에 의해 제어된 밴드구조 및 내부 전계효과 모식도

이에 연구팀은 산화 그래핀에 성장시킨 나노 사이즈 금속-유기 골격체를 활용해 3가지 다른 촉매반응(산소 발생-수소 발생-산소 환원)에 모두 효과적인 비귀금속 촉매 소재(G-SHELL) 합성법을 제시했다.

개발 촉매 물질을 공기전지 공기극 물질로 구성해 기존 배터리 대비 약 5배 높은 에너지밀도(797Wh/㎏), 높은 출력 특성(275.8㎽/㎠), 그리고 반복적인 충·방전 조건에서도 장시간 안정적인 구동 가능함을 확인했다.

또 아연-공기전지는 수용성 전해질로 구동돼 화재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다.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로 수전해 시스템과 연동해 수소 생산을 위한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강 교수는 “낮은 온도, 간단한 방법으로 3가지 다른 전기화학 촉매반응에서 높은 활성도와 수명을 지닌 촉매 소재를 개발해 구현된 아연-공기전지 기반 자가발전형 수소 생산 시스템은 그린 수소 생산 한계를 극복할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KAIST 신소재공학과의 김동원 박사과정과 김지훈 석사과정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9월 17일 자 게재됐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나노 및 소재기술개발사업 미래기술연구실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