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다음은 조류인플루엔자…팬데믹 대비해야”

Photo Image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전 세계적으로 확산 중인 조류인플루엔자의 인체 감염 사례가 나오면서 대비가 필요하다는 나왔다. 차세대 팬데믹이 재발될 수 있어 범용 백신 기술 개발과 생산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24일 서울 프레지던트호텔에서 CSL시퀴러스코리아가 개최한 조류 인플루엔자 기자간담회에서 “다음 팬데믹 확산으로 가장 높은 가능성을 가진 질병을 조류 인플루엔자로 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아직 지속적인 사람 간 전파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몇 년 전과 비교했을 때 최근 동물에서 사람에게 감염되는 인수공통 감염 사례가 잦아지고 있다”라며 “학계에서는 조류 인플루엔자의 팬데믹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고 특히 H5N1 바이러스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 세계 H5N1, H7N9, H9N2 바이러스 감염 사례는 총 2595건 보고됐다. 이 중 1084명이 사망했다. 고병원성인 H5N1 바이러스는 A형 인플루엔자의 변이종으로 902건의 감염 사례 중 486명이 사망했다. 국내에서도 H5N1 바이러스 확진 사례가 발생하면서 질병관리청에서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을 발표하고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 교수는 “한국은 코로나 19 팬데믹 확산을 성공적으로 차단하며 전 세계적으로 방역 체계의 우수성을 인정받은 바 있다”라며 “향후 인플루엔자 대유행에 대비하려면 개선된 범용 인플루엔자 백신 기술의 개발 및 생산 체계를 구축하고, 충분한 물량을 비축하는 등 사전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 “조류 인플루엔자 접종 역시 팬데믹 인플루엔자에 대비한 다양한 플랫폼의 백신 개발이 필요하다”라며 “우리나라가 가진 세포배양 기술 뿐 아니라 유전자재조합이나 mRNA 백신 등 새로운 플랫폼이 필요하고, 면역증강제 기술이 빨리 들어와야 기존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마크 레이시 글로벌 CSL 시퀴러스 팬데믹 총괄은 “CSL 시퀴러스는 인플루엔자 팬데믹 발생시 정부의 요청에 따라 기존의 계절성 인플루엔자 백신 뿐만 아니라 인플루엔자 팬데믹에 대항할 수 있는 범용 백신을 대량으로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라며 “글로벌 인플루엔자 팬데믹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준비가 언제든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유기승 CSL 시퀴러스코리아 대표는 “자사가 보유한 우수한 글로벌 보건 협력, 백신 기술력, 백신 포트폴리오로 국내 공중 보건에도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Photo Image

송혜영 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