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이상직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디지털 생활자' 저자)

회사 밖에는 탁월한 사람이 많은데 왜 회사 안에는 없을까. 회사 밖의 우수한 인재를 영입한다고 효과가 있는 것도 아니다. 회사 대표들의 가장 큰 고민이다. 왜 그럴까.

조선시대 중종은 폭군 연산군이 폐위되고 왕위에 올랐다. 왕족이었을 뿐 쿠데타를 주도하지 않았다. 왕좌를 마련해준 공신들 눈치를 볼 수밖에 없었다. 때를 기다렸다. 왕도정치 구현을 핑계로 신진 사림 조광조를 등용했다. 조광조는 현량과(관리 선발제 개선), 위훈삭제(공신 혜택 박탈) 등 개혁을 통해 공신의 권력을 약화시켰다. 그는 공을 인정받았을까. 중종은 조광조도 권력에 도전할지 모른다고 의심했고 기묘사화를 일으켜 처단했다. 중종은 신하들에게 역할을 주고 기능을 다하면 숙청했다. 충성을 다한 대가가 죽음이라면 누가 조광조처럼 열심히 하겠는가. 중국 한나라 사마천의 '사기' 혹리열전도 보자. 중죄인을 가혹하게 조사하고 처벌하는 관리가 혹리다. 장탕은 한 무제의 혹리였다. 언제나 황제 입맛에 맞게 사건을 처리했다. 누구든 황제 의견에 반대하거나 싫은 내색을 보이면 이런저런 죄목을 붙여 처벌했다. 억울한 사람의 원한이 쌓여 장탕을 모함했다. 황제는 장탕에게 해명할 기회를 주었으나 죄를 인정하고 자결했다. 황제는 장탕의 가족과 후손을 우대했다. 장탕은 왜 극단적 선택을 했을까. 황제는 장탕을 이용해 권력에 도전하는 자들을 제거했다. 그 원한이 자신에게 쏠리는 것을 막기 위해 장탕이 공격받는 것을 묵인했다. 장탕이 끝까지 무죄를 주장했다면 여러 죄목을 붙여 죽였을지 모른다. 그는 죽음으로써 가문이나마 지켰다. 수족처럼 일한 자를 처벌하고 없앤다면 그 누가 열심히 하겠는가.

Photo Image
그림작가 이소연 作

토사구팽은 동서고금의 역사와 현실이다. 용도와 역할이 다하면 내쳐지는 사회에서 어떻게 살아남아야 할까. 회사에 청춘을 바쳤는데 이런저런 이유로 퇴직을 당하면 실망감과 억울함이 크다. 현대판 토사구팽이다. 사냥개도 진화한다. 주인에게 당하지 않기 위해 토끼 몇 마리를 일부러 살려두고 사냥이 계속 필요한 것처럼 만든다. 성과를 내야 하는 부서의 리더는 매년 높은 실적을 낼 수 없다. 의도적으로 실적을 조절한다. 안간힘을 다해 실적을 높이면 당해 연도엔 보너스가 높지만 다음 연도엔 더 높은 목표가 할당돼 힘들기 때문이다. 중국 한나라 화타는 명의지만 의술은 그의 형이 월등했다. 그런데 그의 이름을 모른다. 왜일까. 그는 사람이 아프기도 전에 진단하고 처방해 병에 걸리지 않게 했다. 동생 화타는 발병한 후에야 치료해 낫게 했다. 어떤 의사가 되겠는가. 현실에선 화타가 정답이다. 회사의 리스크를 관리하는 부서도 마찬가지다. 리스크를 철저히 예방해야 함에도 은근히 리스크가 터질 수 있게 열어둔다. 부서가 예방활동을 잘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해보자. 리스크 부서는 일이 없다는 이유로 폐지되거나 축소된다. 해결하기에 적당한 리스크가 발생하도록 열어두고 일이 터지면 열심히 하여 존재감을 보이는 것이 맞다. 어떤 임직원은 어느 부서에 가든 일이 많다고 불평한다. 일부러 일을 만드는 것은 아닌지 의심해야 한다.

왜 이런 일이 생길까. 평생직장의 신뢰가 무너진 탓이다. 정년을 지키지 못하고 명예퇴직, 권고사직 등 중도 퇴직이 많다. 회사 발전을 위해 많은 기여를 한 사람도 그 기여가 줄어드는 순간 '비용' 취급을 당하고 내쳐진다. 임직원의 창의는 충성과 신뢰를 인프라로 하는데 그것이 약화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임직원이 각자의 생존을 위해 별도의 장부를 가지는 순간에 회사는 퇴락한다. 형편없고 황당한 의견도 들어주고 용기있는 실패를 칭찬해야 창의가 솟구치고 밝은 미래가 있다. 잘할 때만 아니라 못할 때도 함께 해야 한다.

임직원에 대한 존중은 결정적일 때 중국 맹상군의 계명구도처럼 쓸모를 발휘하고 오케스트라 심벌즈처럼 진한 감동을 준다. 창의를 위해 회사의 약한 고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상직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디지털 생활자'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