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노인돌봄 정책에 인공지능(AI)을 적극 도입한다. AI가 노인의 주기적인 안부확인, 건강관리, 정서관리를 맡아 예방적 돌봄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도는 이 같은 돌봄서비스를 집중적으로 할 수 있는 AI 돌봄타운도 시범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경기도는 30일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노인 AI+돌봄' 추진 계획을 발표하고 앞으로 경기도 노인 돌봄의 정책 방향을 대면 사후관리 중심에서 AI를 활용한 비대면 예방 관리체계로 확대 전환한다고 밝혔다.
돌봄에 대한 수요가 다양화되고 늘어가는 상황에서 부딪히는 재정과 인력의 한계를 AI로 대응하겠다는 취지다. 예방적 돌봄체계 구축 효과가 확인되면 경기도는 선진국에서 추구하는 '에이징 인 플레이스'(노인이 자신이 살아온 집이나 지역사회에서 벗어나지 않고 여생을 보내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기도는 AI기술 기반 4가지 노인 돌봄 사업을 중심으로 '경기노인 AI+돌봄'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경기도는 특정 지역을 'AI 시니어 돌봄타운'으로 지정해 노인 대상 AI돌봄 서비스와 찾아가는 의료, 디지털 교육 등을 통합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에 따라 돌봄타운 전체 노인에게 'AI 노인 말벗서비스'를 제공하고, AI가 건강진단을 해주는 '늘편한 AI케어' 시범사업을 도입한다.
경기도는 AI를 활용한 지속 가능한 통합돌봄 제공과 노인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로 복지 사각지대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음 달 첫 번째 돌봄타운 대상지 선정을 위해 공모를 통해 추가 지정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또 '늘편한 AI케어' 사업을 하반기부터 본격 도입한다. 늘편한 AI케어 사업은 휴대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움직임 감지, 생체인식 등으로 노인의 안부와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AI 기반 '스마트폰 활용 케어서비스'다. 별도 돌봄 로봇이나 스마트워치가 없이 스마트폰만으로 AI 통합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전국에서 처음 시행한다.
경기도는 7월부터 도내 65세 이상 노인 1000명을 대상으로 '늘편한 AI케어' 시범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늘편한 AI케어는 휴대폰 카메라에 15초간 손가락을 터치하면 혈류를 체크해 심혈관 건강상태를 알려준다. 또 AI 알고리즘이 건강 리포트를 작성하고 주기적인 치매 위험군 자가검사를 실시해 결과를 돌봄매니저에게 보내 관리하도록 한다.
경기도는 기존 복지체계가 대면 안부 확인 중심이고 주기적 건강관리 역시 취약계층만 받을 수 있는 혜택이었다면, '늘편한 AI케어'는 돌봄이 필요한 노인 누구나 소득·연령과 상관없이 누릴 수 있는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AI 어르신 든든지키미' 사업을 추진한다. 학대받는 노인을 위한 AI 돌봄서비스로 재학대 위기 상황 발생 시 미리 설치된 AI스피커가 음성으로 상황을 감지해 112나 노인보호전문기관을 긴급 호출하는 역할을 한다. 6월까지 AI스피커 설치 대상자 선정 작업을 마친 후 7월부터 AI 어르신 든든지키미 사업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경기도는 AI 노인 말벗서비스도 확대 제공한다. AI 노인 말벗서비스는 노인 돌봄 사각지대 예방을 목적으로 안부 확인이 필요한 65세 이상 도내 거주 노인에게 주 1회 정해진 시간에 인공지능이 약 3분간 안부 전화를 거는 서비스다.
전화를 3회 이상 수신하지 않는 경우 당일 경기도사회서비스원 직원이 통화를 시도하고 이 전화도 받지 않으면 읍면동에 확인해 직접 방문한다. 또 AI 전화 시 '살기 어렵다' '외롭다' 등 정서적·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거나 위기 징후가 감지된 경우 전화상담을 진행하고, 복지서비스 연계 필요시 경기도 긴급복지 핫라인으로 연결시켜 관련 전문 상담을 받도록 할 방침이다.
지난해 1061명 노인을 대상으로 AI 말벗 서비스를 시작해 29주 동안 2만3852건 통화를 기록했다. 올해는 5000명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으로 현재 대상자를 모집하고 있다.
허승범 도 복지국장은 “2028년 경기도가 노인 인구 20%를 차지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된다”며 “도는 AI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기존 제도를 정비해 지속가능하면서도 더 많은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돌봄체계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수원=김동성 기자 esta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