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톡] 지역 균형발전과 교육개혁

Photo Image
노동균 기자

“지금이 바로 지역대학을 제2, 제3의 서울대로 만들 정책이 나올 적기입니다.”

최근 임기를 마친 한 지방국립대학 총장이 이임식에서 남긴 말이다.

인적·물적자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는 현실에서 지역대학 육성 필요성을 강조하려는 의중으로 읽힌다. 만사 제치고 SKY, 닥치고 의대 같은 말이 입에 오르내리는 시대에 '지방대 르네상스'라니 자못 낭만적이기까지 하다.

일부 학자들은 지역소멸이 대학에서부터 시작된다고 주장한다. 지역대학 신입생 수는 갈수록 줄어드는데 단순히 출생률과 연관 짓자니 수도권 쏠림 현상을 설명하기 어렵다. 자퇴율은 지방이나 수도권이나 마찬가지로 높다지만 타격은 지역대학이 더 크게 입는다. 지역사회가 노쇠하는 이유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글로컬대학'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학과 지자체, 산업 간 벽을 허물고 파트너십으로 지역과 동반성장해 세계로 나아간다는 의미를 담았다. 비수도권 소재 30개 대학을 선정해 학교당 5년간 1000억원씩 지원한다. 재정에 목마른 지역대학 입장에서는 사활을 걸지 않을 수 없다.

지금까지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사례를 보면 대학 간, 학과 간 통폐합 등 구조조정이 핵심인 듯하다. 대체로 거점국립대학이 다른 지역대학을 흡수하는 형태다. 일각에서는 글로컬대학이 지역대학을 줄세워 또 다른 형태의 서열화를 부추길 것이란 우려를 내놓는다.

지나치게 서두르지 않았으면 한다. 지역대학 구조조정이 개별 대학과 고등교육 시스템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생각하면 좀 더 장기적, 거시적인 관점에서 정책을 다듬을 필요가 있다.

교육부도 주요 교육개혁 과제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핵심성과지표(KPI) 개발에 나선다고 한다. 아무쪼록 숫자만 나열한 1차원적인 지표에서 벗어나 대학 구성원과 학생, 지역사회가 체감하는 다각도적 지표를 발굴하길 기대한다.


노동균 기자 defrost@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