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EU 디지털 제품여권 도입…기업 대응 시급”

유럽연합(EU)이 이르면 오는 2026년 '디지털 제품 여권'(DPP) 제도를 도입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우리나라 기업들이 탄소 발자국 감축 등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개선에 힘을 쏟아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통상연구원은 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EU의 디지털 제품 여권 추진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디지털 제품 여권 제도 도입 근거가 되는 EU의 '에코 디자인 규제안'(ESPR)이 연중 EU 이사회와 의회의 최종 승인 후 발효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2026년부터 분야별로 도입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했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디지털 제품 여권은 EU에서 유통되는 모든 제품의 생애 주기 정보를 디지털로 수집·저장해 공유하는 게 핵심이다. 원자재 공급, 유통 관련 정보뿐 아니라 제품 내구성, 재활용·수리 가능성, 재활용 원재료 비율, 환경 발자국 등 제품의 지속가능성 정보를 포함한다.

보고서는 EU에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과 공급망 참여 기업의 사전 준비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기업이 EU 디지털 여권 추진 동향 모니터링, 공급망 단계별 정보 축적 및 디지털 기술 도입, 탄소 발자국 감축, 인권·노동 문제 해결 등 ESG 항목을 개선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정부와 관계 기관이 배터리 및 섬유 파일럿 전자여권 제작 지원을 비롯해 중소기업 전자여권 대응 지원 및 인프라 구축, 산업별 탄소 발자국 산정 및 감축을 위한 탄소 배출 관리 플랫폼 구축 등에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희영 무협 국제통상연구원 연구위원은 “디지털 제품 여권은 유럽이 추진 중인 지속가능성, ESG 규제의 이행 여부를 확인하는 강력한 도구로 자리 잡을 것”이라면서 “우리나라 기업이 차근차근 준비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희석 기자 pioneer@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