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12/16/news-p.v1.20231216.5c2a7dcb16c74022a34b02ab71ef10ef_P1.jpg)
심장마비로 쓰러진 환자가 생겼을 때 자동심장충격기(AED)를 빠르게 운송하는 드론이 개발됐다. 위급 상황시 응급처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안드레아스 클라에손 교수는 예테보리시 외곽에서 AED를 드론으로 전달하는 연구를 실시했다. 심정지 환자의 골든타임은 약 4분으로 심폐소생술(CPR)과 함께 AED를 사용하면 생존율을 80%까지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AED가 없는 환경에서는 이를 빠르게 전달하는 게 중요하다.
클라에손 교수 연구팀은 스웨덴 드론 회사인 에버드론과 협업, 5개 격납고에서 5개의 드론을 운영했다. 드론은 지역응급대응센터에 심폐소생술 환자에 대한 신고가 접수될 경우 즉시 출동한다. 5개 드론이 커버하는 지역은 약 1억9430만제곱미터(㎡·5878만평)다.
비상 상황시 안전 감독관 통제하에 자율적으로 비행할 수 있는 드론은 30미터(m) 고도에서 바구니에 실은 AED를 지상으로 내려보낼 수 있다. 심정지 환자 근처에 있는 사람이나 구급대원이 AED를 사용하게 된다.
연구팀이 운영한 드론은 55건의 신고 때 AED를 운송했고, 이중 37번은 구급차보다 현장에 더 빨리 도착했다. 55건 신고 중 실제 심정지 환자가 발생한 경우는 18번이었는데, 6번은 신고자가 AED를 직접 활용했다.
이를 통해 1명의 환자는 호흡과 의식을 되찾아 목숨을 구할 수 있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클라에손 교수는 임상적 효과를 입증하기에 표본이 적다는 한계는 있지만, 드론이 응급처치에 도움이 된다는 건 분명하다고 밝혔다.
그는 AED 드론이 중소도시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도심은 구급차 접근 시간이 빠른 데다 고층 건물이 많아 드론 활용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고, 교외는 인구 밀도가 낮아 드론 투자가 어렵기 때문이다.
클라에손 교수에 따르면 AED 드론은 3만~4만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지역을 대응할 수 있다. 이를 감안할 때 중소도시에서 활용 폭이 넓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약품 전달이나 교통사고·화재 사고 현장 영상을 촬영할 때도 드론이 폭넓게 쓰일 수 있다고 전했다.
이호길 기자 eagle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