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소멸, 디지털 혁신이 답]2026년 디지털 인재 51만명 부족…수요·공급 불균형 해소해야

〈4〉인력난 심화
정보교육 시수 초등 62시간·중등 52시간
美 235시간·中 212시간 대비 크게 뒤처져
지역 학교 디지털 기술교육 인프라 부족
지방대 졸업생 10명 중 6명 수도권 취업
정주여건 개선…혁신 창출 선순환 구축
지역 고려한 정책 차별화·자율권 확대를

Photo Image
2022~2026년 디지털 인재 수요 공급 예측

# 우리나라에서 향후 소프트웨어(SW),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기술을 습득한 '디지털 인재'가 턱없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지역에서는 디지털 인재 수요가 갈수록 커지는데 반해 수도권으로 유출이 심화될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 디지털 인재는 공급 부족 상황에서 지역을 이끌 핵심 주체로서 떠오르며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기존 지역 산업과 융합이나 고부가가치 산업 성장을 이끄는 등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국가적 과제인 지역 소멸을 막기 위해서는 실무형 디지털 인재 적극 육성 등을 통한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디지털 인재, 50만명 부족 전망

초지능·초연결·초융합 시대가 도래했다. AI와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블록체인과 같은 디지털 기술 발전은 노동 형태 등 우리 삶의 방식을 송두리째 뒤바꿨다. 사회·경제적 파급 효과는 수치로 환산 불가할 정도다.

디지털 기술 발전을 아우르는 디지털 혁신은 우리나라에서 지역 소멸을 주요 대책으로 떠올랐다. 행정 효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미래 성장동력 산업 육성하거나 기존 산업과 융합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인구·인프라의 수도권 집중화는 심해지고 생산성마저 떨어지고 있는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을 주요 요인이다.

이런 디지털 혁신을 이끌 주체는 결국 사람이라는 점에서 디지털 인재 육성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향후 우리나라에서 디지털 인재는 수요 대비 약 50만명 가까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지난 2022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6년까지 SW, AI 등 디지털 역량 보유 인력 수요는 약 73만8000명으로 예측됐다. 취업률 등을 감안하면 약 100만명 이상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양성될 디지털 인재는 약 49만명에 그칠 것으로 추산됐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크게 달리는 것이다.

기초적인 학교 교육부터 세계 수준에 크게 미달했다. 정부가 2022년 발표한 디지털 인재 양성 종합 방안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정보 교육 평균 시수는 초등학교 62.1시간, 중학교 52.8 시간으로 나타났다.

정보 교육 평균 시수가 어림잡아 각각 235시간, 212시간 이상인 미국, 중국 등과 비교하면 크게 뒤처진다.

이마저도 국내에선 학교별로 편차가 컸다. 고등학교의 68.1%인 1285개교만 정보 관련 과목을 운영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중학교에서는 전체 대비 47.6%만 정보 교과 교사가 정원 내 배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에선 디지털 인재 유출 쓰나미

문제는 지방 학교일수록 디지털 기술과 관련된 정보 과목 이수를 위한 인프라가 부족하고, 인재 유출이 심각하다는 점이다.

한국교육개발원이 지난 2021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방대 졸업생의 수도권 취업률은 강원 58%, 대전·세종·충남 54.5%, 광주·호남·제주 29.2%, 대구·부산·울산·경상 27.8% 등으로 나타났다.

졸업생 10명 가운데 최대 약 6명은 취업을 위해 서울로 향했다는 얘기다. 여기에는 디지털 인재까지 포함한다.

반면 지역에서는 IT·SW 등 연구개발(R&D)에 필요한 디지털 인재 수요가 공급을 웃돌았다.

지역SW산업발전협의회가 서울과 경기 기타 지역을 제외한 전국 IT·SW 사업체 1만8548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2년 지역 IT·SW 산업 생태계 실태조사'에 따르면 대부분 지역에서 IT 제조 및 서비스, SW 등 R&D 인력 수요가 공급에 앞섰다.

대표적으로 광주는 SW 인력 공급이 풍부하다는 응답은 8.1%였던 반면, 수요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57.5%로 나타났다. 공급이 수요에 비해 49.6% 부족한 셈이다. 전남도는 공급이 수요 대비 48% 달리는 것으로 집계됐다.

유호석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산업정책연구실 실장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성장해 온 디지털 서비스 기업을 예로 들면, 지역 서비스 산업 등과 융합하면서 지역 부가가치를 흡수하고 지역 디지털 인재를 유인하고 있다”면서 “반면 전국 디지털 서비스 기업은 필수 인력인 SW 전문 인력 과부족으로 구인난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수도권에 디지털 서비스 기업의 76%, SW 종사자의 85.8%가 몰려있다”면서 “지역의 SW 관련 학과 졸업자는 전국 대비 58%이지만, 지역에 정착한 비율은 28%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정주여건 개선해 혁신 창출 선순환 구축 필요

결국 지역이 디지털 혁신과 경제 활성화를 이끌 IT·SW 인력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역 디지털 인재를 뺏기지 않는 것이 현실적이라는 분석이다.

디지털 인재가 지역에서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는 등 고부가가치 산업을 견인해야만 기업과 지역이 살고 충분한 임금을 제공해 디지털 인재를 흡수하는 '혁신 창출 선순환' 체계가 구축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를 위한 첫 조건으로 정주 여건 개선을 꼽는다. 김민석 경상북도 정책실장은 “경상북도는 지역 소멸 위기 대응을 위해 (청년 등이) 정주할 수 있는 융합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면서 “지방 생태계 핵심 요소인 교육과 산업을 중심으로 지방 시대를 달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고 말했다.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한 구체 방안으로는 지역 자율권 강화가 제시된다.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 관계자는 “현재는 지방 산업 육성, 인프라 구축, 정주여건 개선 등과 같은 지역 발전에 필요한 정책수단이 중앙에 집중돼 있어 지역 수요에 적시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다”면서 “지역 실정을 고려한 차별적 정책과 지방정부 자율권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디지털은 청년 인재가 선호하는 일자리고, 지방 주력산업 혁신 원천”이라면서 “지방 자율성을 최우선에 두고 각 지방만의 특색있는 디지털 성장전략을 지원해 경쟁력 있는 디지털 생태계가 조성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