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최문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디지털포용본부장

고령층과 장애인 등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려면 정보기술(IT) 기술을 취약계층 친화적으로 개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고령층이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키오스크의 경우 교육 확대도 필요하지만, 기기 자체를 노인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문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디지털포용본부장은 전자신문과 인터뷰에서 디지털 격차 해소 방안으로 △정책 수립 △교육을 통한 취약계층 역량 강화 △디지털 기기 접근성 강화 등을 강조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NIA는 디지털 포용 사회 실현을 목표로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최 본부장은 “정책 수립의 경우 과거에는 디지털화에 따라 기술을 교육하는 방식이었다면 이제는 기술 자체가 포용적으로 만들어져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포용적이란 누구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돼야 한다는 의미라고 최 본부장은 설명했다.

일례로 키오스크 활용이 늘어나는 추세인데, 공공서비스 부문에서는 디지털 소외계층도 쉽게 쓸 수 있는 기기가 도입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키오스크에 인공지능(AI) 음성인식 기능을 탑재하거나 수어 영상 안내 기능을 적용하는 방법이 있다. 또 페이지 이동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키오스크를 설계하고, 이미지와 글자 크기를 키우는 사용자 환경(UI)·사용자 경험(UX) 개선도 필요하다. 디지털 격차를 줄이는 데 있어 포용적 관점에서의 설계와 기술 구현이 중요한 이유다.

NIA는 일환에서 민간업체들이 키오스크 UI를 원활하게 개발할 수 있도록 플랫폼 구축에 나서고 있다. 웹·앱·키오스크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는 공통 UI 플랫폼 구축을 연내 완료할 계획이다. 연말이나 내년초부터는 공통 UI 다운로드가 가능해져 업체들의 개발 부담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 본부장은 “국내에 영세한 키오스크 개발사가 많다. 정부가 모든 키오스크를 바꾸라고 한다면 또 다른 규제가 될 수 있다”며 “민간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UI 플랫폼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등 업체들이 취약계층에 친화적인 기기를 도입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취약계층의 디지털 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도 강화하고 있다. NIA는 지난 2020년부터 취약계층 정보화 교육의 일환으로 전국 17개 광역시·도와 226개 기초지자체에 매년 1000개의 디지털 배움터를 운영 중이다. 이곳에서 지난 3년 동안 180만명 이상이 디지털 교육을 받았다. 거동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에 대해서는 연간 2200명 이상을 대상으로 방문 교육을 실시했다.


최 본부장은 “양적인 교육 확대뿐만 아니라 특정 대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지원도 추진 중”이라며 “18세 이상이 되면 보호시설에서 나와야 하는 자립 청소년을 가르쳐 IT 역량을 높이고 자립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호길 기자 eagle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