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인공지능(AI)이 가장 많이 쓰일 산업 1위는 금융·보험업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와 마이크로소프트, 엑세스파트너십이 함께 발간한 '생성형 AI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보험업(10.1%)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 산업(9.6%) △정보산업(8.1%) △도매업(7.1%) △헬스케어 및 사회복지산업(6.7%) 순으로 생성형 AI가 업무활동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는 대량의 데이터를 다루거나 복잡한 작업이 필요한 산업에서 생성형 AI가 큰 잠재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생성형 AI가 한국에서도 상당수 근로자들의 업무방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 전체 근로자의 약 3분의 2가량(67%)이 업무활동의 5~20%에 생성형 AI를 활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업무활동의 20% 이상에 생성형 AI가 적용될 것이라고 보는 근로자 비중은 전체의 1%에 그쳤다. 이에 보고서는 생성형 AI 활성화가 일자리 대체 요인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08/28/news-p.v1.20230828.7e46e482a3714feb9b03fd20bdbac419_P1.png)
보고서는 생성형 AI가 현 시점 한국의 기업생산현장에 적용될 경우 우리 경제의 잠재적 생산역량이 약 620조원 증가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 잠재적 생산역량은 글로벌 차원에서 직군별 산업별로 생성형 AI의 영향을 받게 될 업무 활동을 특정한 후 한국의 산업별 종사자 비율과 근로자당 생산량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추산했다. 업무 활동 중 '점검 및 균형 인식 등 인간의 판단이 필요한 작업' '사람 간 상호작용 등 인간관계를 관리하는 작업' '기계 수리, 서빙과 같은 물리적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작업' 등은 생성형 AI를 활용할 수 없다고 판단해 제외했다.
보고서는 생성형 AI의 성공적 적용을 위한 당부도 내놓았다. 기업은 현재 기술 중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부분과 새롭게 개발해야 하는 기술이 무엇인지 파악해 교육을 강화해야한다고 지적했다. 국가 차원에서는 프라이버시 침해 등 기술의 유해한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를 마련하고 데이터 수집·관리 및 공유를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존 디지털 인프라에 대한 접근성 개선과 디지털 격차 해소 등 전반적인 디지털 환경 개선 역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신영 기자 spicyzer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