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세계적인 추세에 대응해 차기 전력정책에 수요자원, 용량시장 제도 등을 다방면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또 차기 에너지계획을 수립할 때 전력을 중심으로 가스 등 다른 에너지계획과 정합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제시된다.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36년까지 재생에너지·원전 등 무탄소 전원 설비비중을 61.3%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태양광·풍력을 중심으로 원전·수소 등도 활용한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무탄소 전원 설비 비중은 41.5%였다. 14년 만에 무탄소 전원 비중을 약 20% 높여야 한다.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와 송전선로 등이 연계되지 않는 '독립계통'으로 전력시장을 운영해야 한다. 또 무탄소 전원 중에서 전력계통에 부담을 주는 '태양광'의 비중이 높아 전력부하를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다. 당장 호남·제주지역에서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문제가 불거질 정도로 전력계통 과부하가 발생하는 상황이다.
우리 정부는 향후에도 재생에너지와 원전을 동시에 확대할 계획이다. 경직성 전원인 원전과 간헐성이 큰 태양광을 위주로 한 재생에너지는 계통에서 대립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전력 '공급' 뿐만 아니라 '수요 자원'까지 활용해 대응해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영국·호주·미국 캘리포니아 등에서 장기로 확충할 계획인 분산형 수요저장, 수전해, 수요반응(DR) 등 수요 자원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이와 함께 '용량시장 제도' 도입 등 전력시장 중심 수급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전력 설비용량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고, 시장원리로 전력 공급 안정성을 담보하도록 제도를 바꿔야 한다.
아울러 차기에는 시나리오·목표계획·추세전망 등을 모두 반영해 현실적인 에너지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의견에 제시된다. 또 전기화 수요에 대응해 전력 중심으로 에너지계획을 수립하되, 에너지계획간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
전력업계 한 전문가는 “전원 계획이 재생에너지 운영을 감안 안하고 목표가 제시됐고, 연계가 안 된 측면도 있다”면서 “에너지기본계획도 없어진 상황에서 전력 부문이 전기화 촉진 등을 위해 부각이 돼야 하는 만큼 전력 중심으로 에너지계획 정합성을 갖춰야 한다”고 밝혔다.
변상근 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