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자동차 부품업체 보쉬가 모빌리티 매출 성장을 가속화한다. 보쉬는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모빌리티 사업에서 800억유로(약 116조원)를 2029년 경영목표로 세웠다.
보쉬가 올해 모빌리티 사업을 필두로 산업·소비재·에너지 등 4개 사업에서 900억 유로 중반대 매출액을 올린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보쉬는 지난해 이들 사업에서 매출 882억 유로, 영업이익 38억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률은 4.3%를 기록했다. 올해는 최대 9% 매출 성장을 목표로 하는 셈이다.
보쉬는 지난해 526억 유로(약 77조원)를 기록한 ‘보쉬 모빌리티 사업부’에서 2029년 매출 116조원 이상 달성하기로 했다. 모빌리티 사업부는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16% 증가했다. 보쉬는 자동차 고객사를 대상으로 전동화 시대의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C), 전장 부품 공급을 확대해 지금의 두 배 이르는 매출 확대를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세부적으로 보쉬는 SDC를 구동하는 운영체계(OS)와 전기차 에너지 효율성을 강화하는 전력 반도체를 미래 성장 동력으로 꼽았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05/09/news-p.v1.20230509.829a05b55bc24243b54dba2cf70c57b2_P1.jpg)
보쉬는 미국 전력 반도체 전문 업체 TSI세미컨덕터를 인수한다. TSI세미컨덕터가 보유한 차세대 화합물 반도체인 실리콘카바이드(SiC) 기반 캘리포니아 반도체 공장(팹)인 로즈빌 사업장에 14억 유로를 투입해 8인치 최신 제조 시설로 고도화한다. 2026년 첫 번째 SiC 반도체 8인치 웨이퍼가 생산될 예정이다.
스테판 하퉁 보쉬그룹 회장은 “우리는 모빌리티 고객들에게 보쉬의 선도 기술, 공고한 파트너십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쉬는 올해 모빌리티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도 확대 중이다. 올해도 지난해 이어 120억 유로 이상 연구개발비를 투입한다. 전기차 부품 사업 확대를 위한 R&D 전문 인력도 확장한다. 보쉬의 지난해 기준 연구개발 인력은 9422명 늘어난 총 8만5543명이다. 이 가운데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은 4만명에 이르며 올해는 개발 인력을 5만명 가까이 확충할 예정이다.
보쉬는 모빌리티 사업뿐만 아니라 가전, 정보기술(IT) 등 소비재 사업 경쟁력도 강화할 계획이다. 전동공구 매출을 2030년까지 100억 유로로 늘리고 가전 사업 입지를 확대하기 위해 멕시코 신규 공장에서 가전용 냉각 장치 생산을 개시한다.
김지웅 기자 jw0316@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