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슬라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관세 정책에 우려를 표명했다. 포드를 비롯 미국 '빅3′ 자동차 업체에 이어 트럼프 대통령 최측근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테슬라도 관세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내놓은 것이다.
외신에 따르면 테슬라는 11일(현지시간)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에게 “미국 수출 업체는 다른 나라가 미국 무역 조치에 대응할 때 본질적으로 불균형적인 영향에 노출된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
USTR가 관세 정책에 따른 미국 기업의 피해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업계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제출된 서한으로, 관세 정책이 수출 경쟁력과 공급망 운영에 미치는 부정적 내용을 담았다.
테슬라는 서한에서 “과거 미국 무역 조치는 상대국의 즉각적 반응으로 이어졌으며, 여기에 이들 국가로 수입되는 전기차에 대한 관세 인상 등이 포함된다”고 밝혔다.
미국이 특정 국가에 관세를 높이고 해당 국가가 보복하듯 미국에 대한 관세를 높이는 과정에서 미국에 대규모 생산 기지를 두고 해외로 수출하는 업체의 피해가 커진다는 것이다.
테슬라는 또 “공급망의 적극적 (미국 내) 현지화에 노력했지만 특정 부품은 미국 내 조달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미국에서 생산되는 자동차 부품 상당수를 의존하는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를 높이면 공급망 운영에 큰 차질이 생긴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4일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관세를 적용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하지만, 미국 자동차 업체 피해가 심각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관세를 한달 유예하기로 했다.
짐 팔리 포드 최고경영자(CEO)는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하는 차량에 25%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 자동차 산업에 전례 없는 타격을 줄 수 있다”고 관세 정책을 정면 비판했다. 제너럴모터스(GM)와 스텔란티스도 관세에 대한 반대 입장을 내놨다.
김지웅 기자 jw0316@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