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구하기가 정말 어렵네요. 어렵게 채용해도 몇 년 경력만 쌓으면 바로 수도권 기업으로 이직해 가니 불경기에 인재난까지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대전지역의 한 정보기술(IT) 기업 대표가 수도권으로의 본사 이전을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지역 IT기업은 심각한 인재난을 자주 언급한다. 이들은 사업이 아니라 사람이 없어서 기업 경영에 큰 타격을 받고 있다고 호소한다.
지역 IT 인재 대부분은 수도권 기업으로 취업이나 이직을 희망한다. 수도권에 주요 대기업이 몰려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자기계발이나 발전을 위해 일단 큰 시장으로 나가야 한다는 생각이 많다.
상황이 급하다 보니 기업 스스로 해법을 찾고 있다. 가장 쉬운 해법으로 수도권 이전을 택한다. 만만치 않은 이전 비용 등을 감내하더라도 생존을 위해 적당한 후보지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수도권 이전을 추진할 여력이 있는 기업은 지역경제 성장을 이끌고 있는 큰 축인 경우가 많다. 이들이 떠나면 지역경제에 타격이 뒤따르고, 또 다른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
국내 인재 채용을 포기하고 다른 나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기업도 생겨 났다. 특히 청년층이 많고 비교적 교육열이 높은 베트남이 대안으로 떠오른다.
베트남 IT 인재를 선발해서 일정 기간 교육하고 한국으로 취업시키는 방식이다. 수요가 있으니 해외 IT 인재 공급을 전문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사업화도 이미 진행되고 있다. 해외 현지에 법인을 설립하고 소프트웨어(SW) 개발 업무를 통째로 위탁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해외 인력을 끌어들여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은 장기적 대안이 될 수 없다. 취업비자 등 행정적 걸림돌도 있지만 문화적 차이로 말미암은 조직생활 부적응 등 문제도 발생한다. 일부 전문가는 해외로의 기술 유출 심각성도 지적한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수도권과 지방의 인재 양극화 문제 해법으로 지역 대학·기업 연계만 강조한다. 기업이 원하는 인재를 해당 지역 대학이 양성해서 공급하는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겉으로 보면 꽤 괜찮은 내용이지만 5년 전에도 10년 전에도 나온 해법이 반복되고 있다.
지자체나 대학, 기업이 능동적일 필요가 있다. 대학은 학생 입학 때부터 실무를 익히며 지역 기업과 소통하고, 아이디어를 제시하거나 프로젝트에 참여해서 사업화를 경험하게 하는 등 함께 성장을 꿈꿀 수 있는 관계를 형성해 줘야 한다.
지자체는 MZ세대와 소통할 수 있는 협업 공간과 문화 환경, 지역 기업 취업 이후 안정적 정착을 위한 보금자리 마련 등에 힘쓸 필요가 있다. 기업도 괜찮은 수준의 급여와 복지시스템을 뛰어넘는 MZ세대 공략법을 마련해야 한다. 지역 인재가 수도권으로 빠져나간다고 볼멘 소리만 해서는 더 이상 나아질 것이라곤 크게 없어 보인다.
대전=양승민기자 sm104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