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까지 1조1000억원 투자
융복합 인재 6만6000명 양성
AI 학습 자원 등 40만건 개방
NFT 활성화·저작권 제도 개편
문화 분야 첫 디지털 혁신 전략이 나왔다. 새로운 가치와 경험이 있는 디지털 문화 일상으로 문화매력국가를 실현하기 위한 청사진이다. '제 1차 디지털 혁신 기본 계획 2025'이 그것이다.
정부는 2025년까지 문화 디지털 및 문화기술 연구개발(R&D) 관련 투자 예산을 1조1000억원으로 늘린다. 디지털 융·복합 인재 6만6000명을 양성하고 말뭉치 130종, 10억어절 등 인공지능(AI)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문화 자원 개방을 확대한다. 로봇과 수어·점자 콘텐츠로 문화 접근성을 높이고 행정 영역에서도 챗GPT를 활용하는 등 디지털 혁신을 본격 추진할 방침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8일 전병극 제1차관 주재로 '문화디지털신대륙협의회'를 개최하고 제1차 문화 디지털 혁신 기본계획 2025를 확정·발표했다.
문화 디지털 혁신 기본계획 2025는 문체부 최초 디지털 전략이다. 윤석열 정부의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과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을 뒷받침하고 글로벌 K컬처 디지털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문체부는 K컬처 산업이 디지털과 결합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문화·관광·스포츠 분야 기업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새로운 사업영역을 발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실감형, 메타버스 콘텐츠 창작 활성화를 위해 웹툰, 드라마, 전래동화 등 디지털 원천자원과 AI 활용에 필요한 한국어 말뭉치 등 디지털 문화자원 40만여건을 개방한다. 문화기술 연구개발 R&D 예산은 현재 1300억원에서 2025년까지 4600억원으로 확대한다.
새로운 K-컬처를 누구나 제약없이 경험할 수 있는 디지털 기반도 조성한다. 도심 속에서 실감형 미디어 아트를 체험하는 K-컬처스퀘어, 박물관 VR 수장고 체험 등 문화시설을 활용한 융·복합 실감 체험 서비스를 확대한다. 이동 및 소통 취약계층을 위해 탑승형 문화해설 로봇을 현재 23대에서 80대로 늘린다. 로봇이 제공하는 수어·다국어 콘텐츠도 22만건에서 50만건으로 확대한다.
문체부 소속·공공기관 누리집 68개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누리집의 정보를 점자파일로 제공하는 점자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다. 축제, 공연 등 국민 여가생활에 필요한 정보는 한곳에 모아 디지털 서비스로 개방한다.
문체부 조직문화도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새롭게 바꿔나간다. OTT를 통한 콘텐츠 확산, 대체불가토큰(NFT) 기반 거래 확대, AI 학습 등 기술 환경 변화에 대응해 저작권 등 관련 제도를 개선할 방침이다. 아울러 지능형 보안관제 시스템 고도화 등 사이버 안전을 강화한다.
직원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디지털 의무교육과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보도자료, 회의록 작성 지원 등 초거대 AI 기술을 내부 행정업무에 활용한다. 문화디지털신대륙협의회와 더불어 문체부 산하 정보화 전담기관 한국문화정보원을 '문화 디지털혁신 통합지원센터'로 지정해 문체부 본부와 소속·공공기관의 디지털 혁신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문체부는 이번 1차 기본계획을 위해 2025년까지 전체예산 대비 디지털 및 문화기술R&D 예산을 현재 8%(5400억원)에서 10% 이상(1조1000억원)으로 확대한다는 중장기 목표를 수립하고 관계기관과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전병극 문체부 차관은 “디지털 신기술을 문화 분야 창작과 향유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문체부의 첫 디지털 전략”이라며 “디지털 기술이 K컬처가 한 단계 발전해 세계로 확산하는 디딤돌이 될 수 있도록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정은기자 je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