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 잉크젯 프린팅 용액 공정 기반 투명 전극·광열 층 선택적 형성 기술
생체에서 발생하는 여러 신호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가능성 열어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국양)은 강홍기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팀이 미세 잉크젯 프린팅 용액 공정기반 투명전극 및 광열 층의 선택적 형성 기술개발에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기술은 온도 변화에 민감하거나 소자 투명성이 요구되는 바이오 소재 응용 디바이스 개발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최근 바이오 이미징에 쉽고, 광유전학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는 '투명전극'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 투명전극 제작에 사용되는 인듐주석산화물(ITO) 또는 산화주석물(ATO)과 같은 잉크재료는 플렉서블 기판의 전이온도(150~200℃)보다 높은 350℃ 이상 공정 온도를 요구한다. 기존 잉크재료를 사용해 투명전극 공정을 진행하면 높은 공정 온도로 인해 플렉서블 기판이 딱딱해지는 취약점이 있다.
연구팀은 패턴 형성 자유도가 높은 잉크젯 프린팅 기술을 사용해 투명 초박막 금 미세 전극을 환자 맞춤형으로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했다. 잉크를 직접 인쇄하는 기존 방법과 다르게 기저핵 생성을 유도하는 폴리머 시드 층을 잉크젯 프린터를 이용해 인쇄하고, 포토마스크 없이 6㎚ 이하 초박막 금을 진공 증착해 높은 투과도를 갖는 투명 전극을 선택적으로 공정했다.
이번에 개발한 초박막 금 전극 및 금 나노 구조체는 환자 맞춤형 플렉서블, 웨어러블 투명 전극 형성이 요구되는 생물의학 및 공학응용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기술을 확장하면 신경 조절, 암 치료, 약물 전달이나 광기반 PCR과 같은 광열 효과 기반 열 치료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강홍기 교수는 “기존 전극 형성법과 다른 방식으로 잉크젯 프린팅을 통해 환자 맞춤형 초박막 금 전극의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이 핵심”이라며 “환자 맞춤형 유연 미세 전극 어레이를 통해 생체에서 발생하는 여러 신호를 보다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국연구재단을 통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지원하는 기초연구실지원사업, 2023년 과학기술원 공동연구프로젝트 사업, DGIST 기관고유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최근 국제 학술지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에 온라인 게재됐다. 연구에는 D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김두희 석박통합과정생이 주저자로 참여했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