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리포트]지역 생태계 뿌리내린 액셀러레이터…"투자방식 다각화 시급"

68.5대 31.5. 지난해 기준 수도권과 비수도권 소재 액셀러레이터 비율이다.

수도권에 90% 이상이 위치한 벤처캐피털(VC)에 비해 액셀러레이터는 비교적 각 지역에 고르게 소재해 있다. 제주, 충남, 전북 등지에는 단 한 곳의 VC도 없는데 반해 각 지역마다 최소 3개 이상 액셀러레이터가 활동하고 있다.

9일 액셀러레이터협회에 따르면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기준으로 서울, 경기, 인천에 위치한 액셀러레이터는 총 286개사다. 전체의 68.5%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으로는 부산과 대전이 각 24개사로 6% 비중이다. 충남 11개사, 전북 10개사 나머지 지역은 10개 미만 액셀러레이터가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창조경제혁신센터, 각 지역 경제·산업진흥원, 대학 및 출연연을 기반으로 한 기술지주사 등 공공목적 비영리법인 액셀러레이터를 제외하더라도 각 지역별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영리목적 액셀러레이터가 활동 중이다. 로컬크리에이터, 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 등 최근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진하는 지역 기반 유망 창업기업 발굴을 위한 수단으로 액셀러레이터가 주목받는 이유다.

로컬크리에이터와 기업가형 소상공인은 기존 기술 기반 스타트업과는 다른 형태로 사업을 영위한다. 콘텐츠와 창의성을 중심으로 성장하는 것이 특징으로, 개별 프로젝트 또는 개별 사업장에서 수익이 발생한다. 기술 기반 스타트업과 달리 지분투자를 통한 자금조달이 쉽지 않다.

현 제도 하에서는 액셀러레이터의 프로젝트성 투자가 사실상 불가능한 구조다. 액셀러레이터의 주된 투자 방식은 개인투자조합을 통해 이뤄진다. 본계정 투자도 가능하지만 최근 들어 부쩍 감소세다. 하지만 개인투자조합은 보통주나 우선주 투자가 아닌 프로젝트 투자가 불가능하다. 그렇다고 개인투자조합 프로젝트성 투자를 허용하기에는 조합 대다수를 차지하는 개인GP 관리가 쉽지 않다. 수탁거부 사태로 인해 벤처투자조합을 결성하는 것 역시 여의치 않다. 액셀러레이터를 위한 별도 투자기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계속해 제기되는 이유다.

정부는 지난 6일 지역중소기업 혁신성장 촉진 방안을 발표한데 이어 상반기 중 지역창업 활성화 등을 포함한 스타트업 코리아 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지역특화 창업벤처밸리를 조성하고 지역기업에 투자하는 민간 벤처모펀드를 조성하는 등 큰 방향성을 제시했다. 지역 창업 인프라 효율화 역시 추진할 계획이다.

액셀러레이터업계 관계자는 “액셀러레이터는 다른 어떤 지원 기관보다도 지역 창업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크다”면서 “지역 창업기업을 선도기업으로 키우기 위해 액셀러레이터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유근일기자 ryuryu@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