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민 교수의 펀한 기술경영]<354>소격이란 혁신 통로

Photo Image

소격(疏隔). '소통할 소' 자에 '사이 뜰 격'을 붙였다. 서로 사이가 멀어져서 왕래가 막혔음을 뜻한다. 이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로 'defamiliarization'이 있다. 이 또한 '소원한 관계'나 '관계가 소원하게 됨'을 말한다. 이것 또한 나름의 의미가 있는 예술 용어다. 일반적인 것을 낯설거나 상이한 방식으로 제시함으로써 청중 또는 독자로 하여금 새롭거나 다른 관점에서 보도록 하는 예술 기법을 일컫는다. 혁신의 통로는 참으로 다양하다. 이 때문에 원리가 쉽게 손에 잡히지 않는 것도 있다. 직관으로는 거기에 뭔가 있을 것 같은데 딱히 뭐라 설명하기는 어려운 경우도 있고, 서로 닮은 듯 하지만 정작 그 닮은 형상을 마땅히 설명할 원리가 없을 때도 있다.

그렇기에 직관에 의존해서 뭔가를 찾은 다음 해야 할 일이 바로 사례를 꿰뚫는 닮은점 찾기다. 그리고 이건 종종 의외의 관통자(貫通子)로 우리를 이끈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벨크로(Velcro)는 조금 생경하지만 '찍찍이'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한번쯤 들어봤겠지만 개를 산책시키던 누군가가 자신의 모직 양말 및 개의 털에 달라붙은 엉겅퀴와 씨앗을 본다. 그러려니 할 일이지만 집에 돌아와 확대경에 비춰 보자 씨앗 표면의 갈고리 모양(hook)이 섬유의 고리 모양(loop)에 걸려 있었다. 주변에 얘기해 보니 웃음만 돌아온다. 이 익숙하던 것에서 뭔가 얻을 게 있다면 누군가 벌써 그렇게 했지 않았겠냐고 한다. 하지만 로잔공대 출신인 조르주 드 메스트랄(George de Mestral)은 그 누구가 자신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1955년 씨앗의 후크와 섬유의 루프 구조를 모방해 특허를 받는다. 벨크로란 명칭도 벨벳 천을 뜻하는 프랑스어 '벨루르'(velours)와 갈고리를 뜻하는 '크로셰'(crochet)의 앞 철자를 땄다.

벨크로와는 전혀 다른 세상에 닮은 원리가 찾은 시장이 있다. 바로 액상비누이다. 로버트 테일러(Robert Taylor)는 1964년 미니통카(Minnetonka)를 설립한다. 백화점이나 전문점에 비누 제품을 납품했다. 어느 날 비누접시에 비누가 풀어져서 흥건해진 걸쭉한 액체를 본다. 해결책이 없을까 생각하다 펌프가 달린 예쁜 병에 넣은 액상비누(liquid soap)를 떠올린다. 그리고 1977년 첫 제품인 소프트소프(Softsoap)가 탄생한다. 프록터앤드갬블(P&G), 아머다이얼, 레버, 콜게이트파모리브 같은 거대 기업이 장악하고 있던 시장이었다. 이곳에 액상비누란 것으로 불쑥 뛰어든다. 그해 소프트소프 매출만 3900만달러였고, 몇 년 뒤 P&G와 아머다이얼이 액상비누 제품을 내놓은 후로도 그새 몇 억 달러짜리로 커진 액상비누 시장에서 시장 리더 자리를 1986년까지 굳건히 지켜 낸다.

글로벌 기업이 장악하고 있던, 무려 15억달러짜리 시장에서 한 통에 1달러 49센트짜리로 도전기를 쓴 데는 단 한 가지 다른 것이 있었다. 같은 것을 보는 다른 눈이다. 우리는 이 미니통카라는 기업을 기억하지 못하지만 캘빈클라인 브랜드의 옵세션(Obsession)이나 이터니티(Eternity)라는 향수는 기억하고 있다. 벨크로는 실제 쓰임새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것 이후 자연을 모방한 혁신이 흔해졌고, 그래서 생체모방학(biomimetics)이라는 것까지 생겨났다. 즉 자연이 처음 창안한 목적과는 무관하더라도 인간의 필요라는 눈으로 자연을 들여다보기 시작한 것이었다.

우리는 '싱크 디퍼런트'라는 1997년의 애플 광고를 기억한다. 광고의 내레이션 가운데 “사물을 다르게 보는 사람들”이란 구절이 있다. 이건 익숙하던 것에서 떨어져 다시 보라는 '의도한 소격(疏隔)'의 스티브 잡스다운 표현 아니었을까.

박재민 건국대 기술경영학과 교수 jpark@konkuk.ac.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