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총리 “새해 노동개혁·외투 협치로 투자 주도 경제성장”

노동시장 법치주의 확립하고
여야 협치로 법인세 인하 추진
대출탕감 저출산 정책 동의 못해

Photo Image
한덕수 국무총리가 10일 오후 세종총리공관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신년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총리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새해 투자주도 경제성장을 위해 노동시장의 법치주의를 확립하고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한 협치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10일 세종 총리공관에서 출입기자단과 진행한 신년 만찬 간담회에서 “올해에도 가장 중요한 과제는 경제문제인 만큼 노동·교육·연금개혁을 통해 전체적인 경제적 측면에서 생산성 올리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우선 대한민국 잠재성장률이 1%대까지 내려갈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 “총요소 생산성을 늘리는 방법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면서 “노사문제 개선, 정치세력 간 협치, 경쟁 촉진, 연구개발(R&D) 체제 변화 등 구조개혁적으로 집중할게 많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소득 주도가 아니라 투자 주도로 성장하겠다는 점을 재차 강조하며 외국인 투자를 가장 저해하는 '노동시장 법치주의' '법인세 정상화' 문제를 해결해야한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노사 간 협의는 물론 노사가 해야겠지만 법 위반은 국가가 확실하게 지켜줘야 투자가들이 예측을 할 수 있다는 의견이 많다”면서 “지금 홍콩이나 싱가포르는 16.5~17%정도의 단일세율을 부과하는 반면에 우리나라는 지방세까지 합치면 누진세가 50%에 가까워 (외국인 투자유치가) 불리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1년 동안 아직도 미흡하지만 진전이 있었다”면서 “여야 간에 합의해서 외국인에 대한 소득세율을 19% 단일세율로 하거나 소득이 높으면 50% 종합소득세로 선택할 수 있도록 법안이 개정됐다”고 말했다.

다만, 한 총리는 올해 예산안 협의에서 법인세 최고세율 3%P 인하안이 받아들여지지 못한 데 대해 유감을 전하고, 새해 여야 간 협치를 견인하겠다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법인세는 중요한 외국인 투자 결정 요인 중에 하나이기 때문에 법인세 1%P 인하는 미흡하다”면서 “최근 반도체 투자 세액공제라 등 여러 가지 유인책을 만들어 국회에 기재부가 다시 낸 세법조치들이 보완책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야당도 투자 세액 공제를 늘려야된다는 입장이어서 충분히 얘기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서 “국가를 위해 여야 간 합의점을 찾고 노력하는 분위기는 계속 있을 것이라 믿고 저도 국회를 방문해 협의하겠다”고 덧붙였다.

Photo Image
한덕수 국무총리가 10일 세종총리공관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신년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총리실)

한 총리는 나경원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의 결혼시 2억원 대출 등 '헝가리식 대출 탕감' 저출산 정책에 대해 “동의하기 어렵다고 이야기했다”고 밝혔다.

앞서 나 부위원장은 지난 5일 기자간담회에서 아이 출생수에 따라 이자와 원금까지 탕감해주는 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의 중이라고 전했다.

이날 한 총리는 “청년들이 가고 싶은 지역에 저렴하고 만족할 수 있는 주택을 공급하는 유효적인 공급 대책과 함께, 40∼50년 만기 주택대출을 활성화하는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면서 “여기에 2억원이라는 돈을 주고 출산에 따라 탕감한다는 안은 효과 등에서 중복되는 면이 있기에 동의하기 어렵다고 말씀드렸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래서 나 부위원장은 해당 안건을 보고하러 가져왔다가 다시 가져가셨다”고 덧붙였다.

Photo Image
한덕수 국무총리 (사진제공=총리실)

이준희기자 jhle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