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1000큐비트 양자컴퓨터 등 하드웨어와 양자 소프트웨어·알고리즘 개발, 퀀텀 파운드리 및 테스트베드 구축에 7000억원 규모를 투자해 '2035년 양자 경제 선도국 도약'에 나선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2일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양자전략위원회 출범식 및 제1차 회의를 주재하고 '퀀텀 이니셔티브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전략의 핵심은 △전략적 연구개발(R&D)과 인재 양성을 통한 핵심 역량 확보 △기초·원천 연구를 넘어 양자 산업화 기반 마련 △글로벌 협력과 기술 안보 확보 등이다.
최 권한대행은 “범부처 차원의 양자과학기술 역량을 결집해 전략적 R&D·인력양성을 통해 핵심 역량을 확보하고, 인프라 확충·스타트업 육성 등 양자산업화 기반 확장, 글로벌 협력과 국가 안보 강화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양자전략위원회가 출범하면서 국가인공지능(AI)위원회와 국가바이오위원회에 이어 첨단기술 경쟁의 '게임체인저' 기반이 모두 마련됐다는 평가다.
퀀텀 이니셔티브 추진 전략은 양자 분야에서 기존 R&D를 넘어 산업화 기반을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구체적으로 2032년까지 R&D 투자를 7000억원으로 확대해 양자 컴퓨팅과 양자 통신, 양자 센서 등 핵심기술 분야에 대한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촉진한다.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대학 및 연구기관과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산업계와 연계한 실무 교육을 지원한다. 또 스타트업 지원, 기업 간 협력 촉진, 국제 공동 연구 등을 통해 양자 기술 산업의 생태계를 구축하고, 관련 법·제도를 정비해 양자 기술의 상용화와 안전한 활용 등을 지원한다.
양자전략위원회는 앞으로 이 같은 양자 분야 정책 심의·의결을 전담할 예정이다. 11명의 양자분야 산·학·연 전문가를 민간위원으로 위촉했다. 부위원장인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포함해 기획재정부와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교육부 장관과 국정원장 등 7명의 당연직 정부위원으로 구성됐다.
양자과학기술은 앞으로 암호체계 무력화(양자컴퓨팅), 정보탈취 원천 차단(양자통신), 스텔스 탐지(양자센서) 등이 국가 안보를 좌우할 것으로 평가된다. 현재 시장규모는 약 23억4000달러(3조3000억원) 수준이나 2033년까지 약 246억달러(34조원)으로 10배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우리 정부의 양자 관련 올해 예산은 2000억원 규모로, 조단위 투자를 하는 중국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창윤 과기부 1차관은 “투자 부분은 사실상 충분치 않다고 보지만, 아직 국내에 정부 투자 규모를 소화할 수 있는 산업 생태계가 구축돼 있지 않다”면서 “앞으로 늘려갈 예정이나 현재로선 추경 등을 통해 예산 투입 규모를 늘릴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안영국 기자 ang@etnews.com, 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