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산업 대전환 과정에서 소형모듈원자로(SMR)·수소환원제철·탄소포집활용저장(CCUS) 등 기후테크 실증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정책적 제안이 나왔다.
국민의힘 기후위기대응특별위원회는 13일 국회 본관에서 '기후산업으로 50년 성장을 재현하다'를 주제로 '기후, 국민께 듣겠습니다' 1차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업계는 주요 기후테크 키워드로 '수소'와 '전기'를 꼽고, 기술 선점을 위해 '스피드업'과 '스케일업'을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기수 포스코 부사장은 “수소환원제철은 해외 시장에 나갈 수 있는 산업의 기초로 협업이 중요하다”면서 “한국의 지정학 위치를 고려하면 원자력을 하지 않을 수 없다. SMR 기술개발을 가속화해 철강과 원자력 간 시너지를 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기춘 코오롱인더스트리 전무는 “스코프1의 경우 현장 이산화탄소를 줄여야 하는데 원가절감을 상시화하는 상황에서 마른 수건 짜내기”라면서 “경제성 있는 CCUS도 아직 어렵고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산업단지에 설비를 구축하는 것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이어 “스코프2도 원가 등 이유로 재생에너지 가격 상승을 피부로 느끼고 있고 스코프3는 원자재 등 이슈로 상황이 더 어렵다”고 덧붙였다.
기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실증단계 등에서 정부의 제도적 지원을 확대해야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육심균 두산에너빌리티 원장은 “풍력, 원자력 등 설비 개발 후 실증 기회를 가져야 국내는 물론 해외시장에 진입할 수 있다”면서 “수소터빈의 경우 초기 시장 진입 위해 실증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오상준 한화토탈에너지스 연구소장은 “글로벌 기업과 비교해 한국의 이산화탄소 감축 연구활동은 70~80% 수준이다. 스피드업 해야 하는데 규제가 심하다”라면서 “연구와 파일럿 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연구 단계에서 화학물질 규제로 개발 속도가 늦어진다. 연구개발(R&D) 설비에 대한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CCUS 관련 포집분야 기술은 많이 연구됐는데, 활용분야 연구는 어려움이 있다”면서 “저장분야도 해야 하는데 국내 자체에 묻을 곳이 매우 부족하다. 단일 기업이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국가간 협력 통해 기업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해 달라”고 덧붙였다.
김소희 국민의힘 국회의원(기후특위 간사)은 “기후위기를 기회로 만들고, 기후산업을 중심으로 대한민국의 50년 성장을 재현하기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며, “이번 간담회가 산업계의 목소리를 듣고, 실질적인 정책 대안을 마련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