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상생결제, 정부 전 부처 확대를

Photo Image

중기부가 상생결제를 유통 분야로 확대했다. 경기 침체로 자금이 돌지 않는 협력사 등이 큰 혜택을 볼 수 있다. 그동안 기업 간 결제는 현금결제, 어음, 외상매출채권 등이 대부분이었다. 이로 말미암아 기업 결제 대금 미지급, 연쇄 부도, 유동성 경색 등 문제를 해결하기가 어려웠다.

상생결제를 활용하면 모든 판매기업(1~4차)이 약속된 대금지급일에 현금을 받는다. 필요 시 대기업과 정부·지방자치단체·지방공기업·공공기관 등과 같이 낮은 금융비용으로 결제 대금을 조기에 현금화할 수 있다. 제조 기반 기업에만 주로 적용되던 상생결제를 중소벤처기업부 주도로 유통 플랫폼 기업으로도 확대했다.

자금 경색으로 기업의 돈이 돌지 않는 이때 영세 기업은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다.

기업은 판매대금 정산 과정에서 고통을 느낀다. 물건을 판매해도 최대 60일 이후에나 대금을 정산받을 수 있어 자금 유통에 어려움이 크다. 물건이 잘 팔려도 정산이 늦어져서 물품 매입 등에 어려움을 겪다가 흑자 부도 위기에 몰리는 경우도 있다.

이미 삼성, 현대 등 대기업은 상생결제를 적극 도입하고 있다. 상생결제의 장점을 산업 전체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코로나19 등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중소 하도급 기업은 대기업과 대금 정산을 하기 전에 미리 협약한 은행을 통해 자금을 융통할 수 있다.

대기업 신용도에 따라 1차 협력사는 4.19%, 2차 협력사는 6.50% 등 금리를 적용받아 약 27.00%의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다. 3차 협력사는 9.50%에서 4.19%로 절감 폭이 약 50.60%로 효과가 더 크다. 대기업과 직접 거래하지 않는 2차 납품단계 이하 중소기업은 아직도 어음 거래 비중이 높다.

이제 중기부의 솔선수범 상생결제 도입을 정부의 주요 부처로 확산할 필요가 있다.

기업이 살아야 한국경제가 산다. 대안금융으로 상생결제를 적극 활용할 때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