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콘텐츠 제작자들의 망 무임승차법 반대운동은 '이슈 담론화' 현상으로 진단됐다. 이용자에 친숙하게 다가가는 구술문화를 통해 감정과 논리의 경계를 흔들며 특정한 주장으로 독자를 빨려들게 하며 여론을 형성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이종명 강원대 교수는 20일 '망 사용료, 유튜브 이슈담론화에 대한 비판적 접근' 발제를 통해 이같이 진단했다.
구글이 유튜브 콘텐츠 제작자의 수익배분율을 줄일 수 있다고 시사한 이후, 망 무임승차 방지법에 반대하는 콘텐츠가 쏟아졌다. 이 교수는 유튜브에서 망사용료로 검색해 1만건 이상 결과를 얻었고, 이를 주제로 다룬 25개 콘텐츠를 도출했다. 시청뷰수 더하니 575만5000건이 나왔다. 그는 “대한민국 인구 10분의1 이상이 망 사용료 관련 콘텐츠를 시청한 셈”이라며 “객관적으로 설명하고 이해시켜주고, 문제를 던지면 좋았겠지만, 커뮤니케이션은 그런식으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유튜버 영상에서 한국에서 유튜브가 철수할수 있다거나, 우리가 인터넷의 제약을 받을수 있다는 극단적 주장까지하는 걸 볼 수 있었다”며 “긴 호흡으로 망사용료에 대해 포스팅하며 어느 쪽이 옳고 그르다는 주장을 하는게 아니라 주장했지만, 끝부분에는 통신사의 영업이익합계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한쪽 편을 들고 있었다”고 말했다.
장정헌 차의과대학 교수는 “공공의 의견을 감지한 정부와 정치인이 정책이슈로 바꿔가게 되는데, 많은 국민이 참여해 실질적 여론 형성이 이뤄지지 못한 상태에서 소수가 전체를 대변하게 된다면 심각한 왜곡이 발생해 근본적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고 말했다.
하주용 인하대 교수는 “유튜브라는 거대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자기들에게 유리한 정보를 노출시킬 경우에 공정한 의견 교한의 장을 기대할 수 없다”며 “논의의 장을 유지하기 위해 투명한 알고리즘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지속돼야 한다”고 말했다.
좌장을 맡은 한진만 강원대 명예교수는 “망 이용대가 논쟁은 굉장히 복잡해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지고 있다”며 “인터넷 매체들 뿐만아니라 기성언론도 많은 관심을 갖고 제대로 보도해야 한다”고 논의를 마무리했다.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