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톡]활성화 필요한 '오픈랜' 시장

Photo Image

오픈랜의 초기 생태계 구축을 위한 '오픈랜 얼라이언스(협의체)' 출범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오픈랜이 5세대(5G)·6G 이동통신의 주요 기술로 떠오르는 가운데 기술 개발과 상용화 준비를 위한 구심점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오픈랜은 개방형 소프트웨어(SW) 표준을 바탕으로 네트워크 운용체계(OS)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패러다임이다. 네트워크 장비 하드웨어(HW) 의존도에서 탈피, 필요한 장비를 수요자 맞춤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오픈랜 활성화를 국정과제로 채택했다. 최근 국정감사에서도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생태계 조성을 통한 차세대 네트워크 기반을 강화하겠다고 이야기했다.

오픈랜 얼라이언스의 역할이 막중하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삼성전자, LG전자 등 주요 기업이 참여하는 만큼 연구개발과 실증을 넘어 상용화까지 이어져야 한다. 오픈랜 얼라이언스는 프론트홀 개방을 기반으로 기지국무선장비(RU)와 데이터처리장비(DU)의 상호호환성 검증 등을 우선 목표로 한다. 무엇보다 국내 중소 RU 기업이 대기업에 의존하지 않고도 더 많은 제품을 공급하고,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지금 국내에서는 오픈랜 RU와 가상화 기지국(V-RAN) 등이 개발돼도 이를 판매할 시장이 형성되지 못했다. 오픈랜 얼라이언스가 최우선 과제를 오픈랜 수요처 확보에 두고 실증부터 상용화까지 고민해야 한다. 우선 실증사업을 할 수 있는 곳을 확보해야 한다. 이통사가 구축하고 있는 농어촌 5G 공동망은 이미 구축 장비가 결정됐다. 상용망에 오픈랜을 실증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5G 특화망 등을 활용해 특정 장소를 테스트베드로 확보해야 한다. 다양한 공공망이 끊임없이 구축되는 만큼 이를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할 만하다. 과기정통부가 나서서 행정안전부와의 부처 간 협업을 통해 수요처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오픈 프론트홀 상용화가 우선 필요하다. 이를 통해 오픈랜이 장기적으로 추구하는 가상화와 지능화, 6G에서의 활용, 위성과의 연계까지도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해외 사례도 참고할 수 있다. 최근 미국에서는 주요 대학이 지방자치단체와 협업해서 5G 오픈랜용 플랫폼을 구축했다. 기지국·코어·단말을 설치하고 장비제조사와 함께 오픈랜 운영체제의 상호운용성 등을 검증했다. 국내에서도 대학과 지자체에 협조를 구할 수 있을 것이다. 표준 개발도 중요해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통신사·장비제조사 등과 대기업,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협력은 필수다.


정예린기자 yesli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