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주년 창간사]전자신문 제언..."테크코리아, 기술 초강국을 향해"

전자신문은 전자산업 초기부터 정보통신기술(ICT) 성장, 4차 산업혁명 붐에 이은 디지털전환(DX)까지 '미래를 보는 창'을 표방하며 우리나라 기술 혁신과 함께 성장했다. 기술 흐름을 먼저 보여 주고 차별화한 가치와 정보를 제공하고자 했다. 공정 경쟁과 건전한 시장 질서에 반하는 일에는 쓴소리도 내면서 충실한 산업 동반자를 자임했다. 그 과정과 시간의 축적 덕분에 오늘 전자신문이 창간 40주년을 맞게 됐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

불혹의 전자신문이 '테크코리아, 기술 초강국을 향해'를 새로운 기치로 제시한다. 기술 패권 시대에는 기술이 앞선 나라가 강국이다. 세계 각국은 총과 칼이 아니라 기술로 싸운다. 정치 이념이 약해진 가운데 열강들은 산업 경쟁력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대한민국은 ICT를 내세워 세계 10대 경제 강국에 진입했다. 반도체·휴대폰·TV 부문에서 세계 1위에 올랐다. 그러나 '부진즉퇴'(不進則退)라 했다. 기술 시대에는 잠깐만 한눈을 팔아도 경쟁자가 앞으로 치고 나간다. 절대로 발걸음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 기술 초강국을 위한 다섯 가지를 제안한다.

◇인재와 스타트업을 기르자

우리나라는 부존자원이 적다. 인재가 경쟁력이다. 우리 민족은 신기술에 대해 저항이나 거부감이 적고, 새로운 문화를 잘 흡수한다. 기술 패권 시대에 부합한다. 창의형 인재를 길러야 한다. 판에 박힌 정형 인재보다는 독창성을 띠는 인재가 필요하다. 국가 교육시스템과 기업 인재 관리 시스템은 혁신해야 한다. 원천기술, 상용화, 기술경영, 하드웨어와 융합 신기술 등에서 이전과 다른 인재 양성 프로그램도 세세하게 준비해야 한다. 무엇보다 창의형 인재가 뛰어놀 수 있는 창업의 길을 넓혀야 한다. 스타트업 강국을 위해서는 '창업-투자-성공-회수-재투자' 사이클 관리가 중요하다. 젊은 기업, 유니콘, 스타 벤처기업가가 많아지면 국가 미래는 밝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포스트 반도체'가 필요하다

우리 먹거리의 최대 산업은 반도체다. 반도체에 이은 '메가' 산업군 육성은 기술 초강국을 위해 필요하다. 바이오와 배터리, 인공지능(AI), 도심항공교통(UAM), 전기·수소차, 자율주행차 등이 유망 산업군으로 꼽힌다. 최근 인기 있는 K-콘텐츠, 메타버스 같은 무형 기술도 차세대 주자로서 손색이 없다. 정부는 세부 로드맵과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서 혼선을 줄여야 한다. 성장산업 발굴과 육성에다 맞춤형 정책도 펼쳐야 할 것이다. 기업도 시장을 찾고 관련 기술을 확보하는 중장기 대응에 나서야 한다.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거대 기술을 확보해야 중견과 중소기업에도 무궁한 기회가 마련된다.

◇IP와 표준이 경쟁력 핵심이다

기술 초강국을 위해서는 기술개발과 함께 특허와 표준은 필수다. 글로벌 기술패권 시대에 지식재산(IP) 가치는 계속 올라가는 추세를 띤다. 상대적으로 우리는 미국·유럽 국가에 비해 IP 인식이 낮다. 특허와 표준에서 경쟁력을 갖춰야 기술 주도권을 잡아 나갈 수 있다. IP는 로열티 수입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경쟁자의 위협을 막는 진입장벽도 된다. 우리 기술이 글로벌 표준이 되면 해당 산업에서 우리 주도로 산업 패러다임을 구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R&D 초기 기획 단계부터 IP와 표준 전략을 함께 마련해야 한다. 그래야 신기술 패권이 가능하다. IP와 표준에 관한 관심과 존중은 기술 중심의 사회 분위기 조성에도 긍정 영향을 미칠 것이다.

Photo Image

◇신기술을 위해 총력전을 펼치자

핵심 신기술 선점은 미래 대비 차원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다. 연구개발(R&D)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전보다 과녁 적중률을 높여야 한다. 전략이 중요하다. 미래에 각광 받을 기술을 빠르게 찾고, 전략적 연구와 투자로 경쟁자보다 앞서서 결과물을 내야 한다. 상품과 서비스로 잘 만들어서 상용화까지 선순환 사이클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빠르게 움직이는 세상에서는 모든 것을 혼자 할 순 없다. 직접 개발보다 연계 개발(C&D)로 기술을 조기 확보해서 연결해야 한다. 글로벌 협력과 오픈 이노베이션이 중요해질 것이다. 앞으로는 개별 기업 경쟁보다 생태계 경쟁이 중요하다. 좋은 기술을 갖춘 우군 확보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기득권' 규제는 과감히 털어내자

'대못' 규제는 신산업·신기술의 역동성을 떨어뜨린다. 특히 우리만 있는 규제는 국가 산업 경쟁력을 좀먹는다. 최고 정보통신(IT) 인프라를 갖춘 우리나라에서는 원격진료와 차량공유서비스조차 여전히 제한적이다. 오히려 늦게 출발한 해외에선 같은 서비스가 활기를 띠고 있다. 규제에 가로막힌 우리 기업은 '울며 겨자 먹기'로 해외로 나가는 실정이다. 플랫폼 경제로 말미암아 전통 사업자와 후발 도전자 간 충돌도 늘고 있다. '타다'와 '로톡'이 대표적이다. 정부와 국회의 현명한 조율 및 대타협이 필요하다. 신기술이 규제에 막혀서 좌초하는 일이 반복된다면 도전 자체가 무의미해진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