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차관 "통화긴축에 세계경제 불안…G20 존재 이유 보여줄 때"

Photo Image
방기선 기재부 1차관이 21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G20 글로벌 금융안정 컨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사진=기획재정부 제공)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이 물가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각국의 긴축이 세계 경제에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글로벌 금융 안정을 위한 주요20개국(G20)의 역할을 강조했다.

방 차관은 기재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1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개최한 G20 글로벌 금융안정 컨퍼런스에서 “가파른 통화 긴축은 경기침체 우려와 경제주체들의 고통을 가중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방 차관은 “이번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은 팬데믹으로 인한 공급망 교란, 세계경제 블록화에 따른 공급구조 재편,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유발한 원자재 가격 급등 등 실물 부문의 충격에서 비롯됐다”고 진단했다. 이어 “실물 부문에서 파급된 금융 불안은 언제든 다시 실물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해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라며 “금융 안정을 위한 각국 간 정책 공조가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G20의 역할에 대해서도 “과거 G20의 개별 국가의 노력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전대미문의 세계 금융위기 상황에서 중추적 리더십을 제공함으로써 그 존재 이유를 증명했다”며 “G20은 말이 아닌 행동으로 다시 한 번 그 존재 이유를 보여줄 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 정부는 불확실성에 대응해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외국인 국채 투자 비과세,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등 세계적 표준에 맞는 금융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기조연설을 맡은 모리스 옵스펠드 UC버클리대 교수는 1980년대와 같은 인플레이션 시대가 재도래한 현시점에 통화정책 협력을 강조했다.

옵스펠드 교수는 “올해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한 미국의 통화 긴축과 그에 따른 달러 가치 상승이 세계 경제에 미칠 부정적 파급효과가 1980년대에 비해 클 것”이라고 전망하며 “각국이 경쟁적으로 통화가치를 절상하고 인플레이션을 수출하는 '죄수의 딜레마'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글로벌 긴축의 파급효과 점검과 국제금융 체제 강화, 디지털자산 영향 및 대응 방향 등을 위한 G20 중심의 국제 공조 필요성을 언급했다.

G20 글로벌 금융안정 컨퍼런스는 G20 회원국의 정책 담당자와 경제·금융 분야 석학이 모여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의 위험 요인을 진단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2013년 개최돼 올해로 8회째를 맞았다.

정부는 이번 회의를 통해 논의된 정책 제언을 검토하고 오는 10월 개최될 G20 재무장관회의와 11월 G20 정상회의 때 활용할 예정이다. 아울러 프랑스와 공동 의장국을 맡고 있는 G20 국제금융체제 실무그룹(IFA WG)을 중심으로 정책 제언을 구체화한다는 계획이다.

최다현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