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금융사들이 자사 금융 플랫폼과 인증서 사업 확대 일환으로 공인전자문서센터(이하 공전소) 사업에 진출한다. 자체 개발 인증서로 전자서명인증사업자, 본인확인기관, 공인전자문서중계자 자격에 도전한 데 이어 전자문서 저장 요건을 갖춘 공전소 사업까지 완성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메일함 대신 은행 플랫폼에서 주요 전자문서를 수신·보관·관리하는 체계 완성에 도전한다.
KB금융그룹은 최근 KB신용정보를 주축으로 공전소 사업자 진출 계획을 마련했다. KB국민은행이 'KB모바일인증서'로 전자서명인증사업자와 본인확인기관 지정을 획득했고, 은행권에서는 유일하게 공인전자문서중계자 자격도 갖췄다. 여기에 더해 KB금융은 계열사 가운데 KB신용정보를 앞세워 공전소 지정 신청도 준비하기로 내부 방침을 정했다.
신한금융그룹은 신한은행이 자체 인증서 '신한 사인'을 중심으로 전자서명인증사업자 지위를 획득했고, 본인확인기관 최종 지정을 앞두고 있다. 이에 더해 신한카드가 공인전자문서중계자 지위에 도전하는 방안을 확정했다. 내부 처리 문서량 등을 감안, 신한은행이 공전소 지정에 나서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공전소는 일정 자격을 갖춰 신뢰성 있는 제3자가 거래 당사자 간에 주고받는 전자문서를 위탁 보관하고 증명하는 제도다. 2007년 2월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이 첫 사업자로 지정된 후 LG CNS(2007년), 하나금융티아이(2008년), 더존비즈온(2011년), KT(2022년 4월)가 사업자로 지정됐다.
공전소는 첫 도입 후 시장의 관심이 컸지만 수익성 문제로 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했다. 정부 지정 사업자도 9개사까지 증가했다가 줄기도 했다. 고객 대상 문서가 많은 금융사도 공전소 사업 진출에 관심을 뒀으나 수익성 문제와 종이문서를 우선시하는 관행 등에 부닥쳐 실제 사업화에는 이르지 못했다.
금융사는 자체 개발 인증서 적용 범위를 금융그룹 안팎으로 확장해 은행 앱 활성사용자수(MAU)를 높이고 로그인과 본인확인에 따른 프로세스를 간소화해서 사용자경험(UX)을 개선하는 것이 우선 목표다. 여기에 더해 공인전자문서중계자 자격을 갖추면 다양한 공공기관 알림 문서 등을 은행 앱에서 수신·관리할 수 있다. 공전소 지정까지 획득하면 전자문서 중계를 넘어 위탁 보관까지 할 수 있는 공신력을 갖추게 된다.
배옥진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