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절반 이상이 한일 갈등 해소와 미래지향적 협력 방안 모색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대규모 다자간 무역협정 출범으로 한일 간 무역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208/1562542_20220816125530_191_0001.jpg)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30인 이상 기업 207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한일관계, 경제협력 전망과 과제' 설문조사 결과 응답기업 절반 이상(57.0%)이 한일 갈등을 해소하고 미래지향적 경제협력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답변했다고 밝혔다.
최근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과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등 대규모 다자간 무역협정이 출범하는 상황에서 향후 한일 간 무역이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는 기대가 컸다. 기업들은 양국 간 중점적 경제협력 분야(복수응답)로 'RCEP, IPEF 등을 활용한 무역 활성화'(53.4%)를 꼽았다.
양국 관계 개선이 투자심리 개선과 고용 창출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도 나왔다. 응답기업의 37.7%는 한일관계가 개선되면 향후 기업의 투자 및 고용 증대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답변했다.
한일관계 악화로 인한 기업 애로사항(복수응답)으로는 '매출 감소'(14.5%), '소재·부품·장비 등 수급 차질'(13.5%), '인력왕래 어려움'(11.6%), '수출입 통관 지연 등 물류 차질'(9.2%), '브랜드 및 기업이미지 악화'(4.8%), '경영 및 투자환경 예측 가능성 저하'(4.3%) 등을 호소했다.
양국관계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복수응답)로는 '일본, 수출규제 조치 해제 등 무역분쟁 해결'(35.9%), '다자간 무역협정 참여를 통한 무역 활성화'(32.5%), '정부 간 대화와 소통 강화'(31.1%) 등이 꼽혔다.
경총은 2019년 7월 시작돼 3년 넘게 지속된 일본 수출규제 조치에 대한 기업의 우려가 크며, 이를 정책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한일관계 개선에 필수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배정연 경총 국제협력팀장은 “한일관계 악화로 매출 감소, 수출입 통관 지연 등 여러 기업활동 어려움이 있었지만 지난 5월 대통령 취임식에 일본대표단이 참석하는 등 한일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라고 말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