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코리아2022] 나노연구 교수 3인 "정부 꾸준한 지원 결실…핵심 기술 부상"

나노 분야를 연구하는 전문가들은 정부의 꾸준한 지원과 사회적 관심이 나노를 산업으로 성장시키는 데 크게 일조했다고 입을 모았다. 한국 나노가 세계 최고 수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상용화 수준 확대, 인력 양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노준석 포항공대 교수는 “과학이 기술로 이어지기까지 보통 50년이 걸리는데 나노는 정부의 전폭적이고 꾸준한 지원으로 20년 만에 핵심 기술로 부상했다”면서 “앞으로가 더욱 중요한데, 나노가 실생활에서 크게 도움이 되고 삶의 질을 변화시킨다는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Photo Image
노준석 포스텍 교수

노 교수는 “한국은 미국 등 나노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나노 지원 수준은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면서 “소부장 지원과 더불어 나노 지원은 지속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나노 관련 산학연(산업계·학계·연구계) 선순환이 중요하다는 제언도 있었다.

장호원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학계에서 연구가 깊이 있게 연구됐고 많은 전문 인력을 반도체, 바이오, 벤처 기업으로 배출했다”면서 “학계에서 산업계로 인력을 배출하는 것뿐 아니라 산업계에서 연구소, 학교로 공동 연구 제안 등 다양한 피드백이 오는 선순환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Photo Image
장호원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장 교수는 “나노는 다른 분야와 비교해 짧은 기간 내 견실하게 성장한 산업이 됐다”면서 “다양한 나노 기술이 앞으로도 제품화, 상용화돼서 나노가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중요한 기술이라는 점을 지속 보여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부의 나노 '보텀업(Bottom-up·상향식)' 지원이 중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박소정 이화여대 교수는 “정부의 지원은 보통 톱다운(Top-down·하향식)으로 이뤄져 왔는데 앞으로는 톱다운 방식과 보텀업 방식이 균형 있게 추진될 필요가 있다”면서 “나노는 창의성이 상당히 중요한 분야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Photo Image
박소정 이화여대 교수

중요한 연구 주제를 먼저 제시해 공모를 받는 톱다운과 달리 보텀업 방식은 연구자가 자발적으로 다양한 주제를 먼저 제시하는 방식이다.

박 교수는 “나노가 지속 성장하기 위해선 과학자에 대한 정당한 대우가 기본”이라면서 “훌륭한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선 연구에 대한 적절한 보상 등이 수반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나노분야는 다른 기술과 융합이 필수여서 다양한 산업이 협업하는 모델이 많이 등장하게 됐다”면서 “나노 상용화와 기술 발전을 가속하는 데 집중해 세계적인 경쟁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소라기자 srpark@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