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6G 예타 '업그레이드' 추진

Photo Image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글로벌 6세대(6G) 이동통신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정부가 예산 확대를 추진한다. 기존 2000억원 규모의 6G 핵심기술개발 사업을 확장, 수천억원대 추가 예산을 확보해서 6G 상용기술과 생태계를 조성하려는 포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차세대 네트워크 연구개발(R&D)' 사업 기획에 착수, 8월 과학기술혁신본부에 예비타당성조사(예타) 신청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유럽, 일본 등을 중심으로 6G 시장 선점 경쟁이 나서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개방형무선접속망(오픈랜)과 위성통신 등 6G 요소 기술을 구체화하고, 6G 상용화 시기도 빨라질 것으로 판단했다. 윤석열 정부는 2028년까지 6G 시제품을 개발하고 2030년 상용화하겠다는 국정과제를 제시했다.

이보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2020년 10년간 1조원 규모의 예산 확보를 추진했다. 하지만 예타 심사 과정에서 6G가 당시로선 실체가 불분명한 미래 기술이라는 점 등이 고려돼 핵심기술 위주 2000억원 규모의 예산만 우선 확보했다. 이후 미국과 유럽 등 세계 시장에서 6G 기술로드맵이 구체화하는 추세에 맞춰 과기정통부는 비욘드5G·6G 실용·상용 기술 확보에 초점을 두고 예산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예타를 통해 6G 등 유무선 네트워크 진화 로드맵을 도출하고, 이와 연계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술개발 로드맵을 마련한다. 기존 예타 사업이 6G 개념 정립과 초기 원천기술 확보에 초점을 맞췄다면 새롭게 진행하는 예타는 실용기술과 상용화, 생태계 조성 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종 예타 기획안에 따라 예산 규모가 도출될 예정이다. 기존 정부가 추진했던 사업을 고려하면 최소 수천억원을 신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이 5G 시장을 선도하는 가운데 미국과 유럽이 6G 시장에서의 반격을 노리는 상황에서 한국의 기술·생태계 주도권 확보가 절실한 것으로 지적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6G 유력 상용 기술 등 확보에 초점을 맞춰 예타를 기획하고 있다”며 “6G를 둘러싼 글로벌 환경이 변화한 만큼, 연구를 통해 적합한 예산 규모를 도출하겠다”고 말했다.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