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는 금리가 급격히 인상되면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못 갚는 일시적 한계기업이 대폭 늘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부실기업 증가로 경제에 부담이 될 수 있으니 금리를 점진적으로 인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경련은 23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외감기업 1만7827개를 대상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2021년 영업이익이 이자비용보다 적은 일시적 한계기업 비중은 34.1%였다. 그런데 금리변동으로 조달금리가 3%p 상승하면 일시적 한계기업의 비중이 47.2%(13.1%p 증가)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숙박음식업 대다수(84.3%)가 일시적 한계기업이 되고, 대기업도 35.4%가 한계기업이 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5년간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일시적 한계기업은 지속 증가추세다. 2021년 일시적 한계기업은 외감기업 3개 중 1개꼴인 34.1%에 달한다. 이는 코로나의 영향이 컸던 전년의 36.6%에 비해 2.5%p 낮아진 수치이나 2017년과 비교할 경우 6.0%p 증가한 것이다. 전체기업의 24.0%(4273개사, 일시적 한계기업의 70.3%)는 영업이익 자체가 마이너스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과 영업이익은 동일하고 기업의 조달금리가 1~3%p 변동했다고 가정할 경우 금리가 1%p 상승하면 일시적 한계기업은 5.4%p 증가하고, 추가로 부담해야 이자비용이 8.69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가 2%p 상승하면 일시적 한계기업은 9.5%p 증가하고 추가 이자비용은 17.92조원, 3%p 상승시 일시적 한계기업은 13.1%p 증가하고 추가 이자비용은 26.88조원 증가했다.
전경련은 향후 기준금리 인상으로 기업의 자금조달 금리가 3%p 올라간다면 외감기업의 절반이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고, 이자비용 부담이 약 2배 정도 늘어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업규모별로 보면 대기업도 금리가 3%p 인상되면 일시적 한계기업 비중이 35.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0개 중 3개가 넘는 대기업이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한다는 의미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금리의 급격한 인상은 한계기업을 양산할 가능성이 높아 자칫 경제에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 일시적 한계기업 비중 변화(2017~2021년)>
(단위 : %)
[자료:전국경제인연합회]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