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전체 가입자가 지난 2월말 기준 1080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휴대폰회선 가입자는 감소한 반면에 사물인터넷(IoT)회선 가입자는 크게 증가했다. 통신 자회사의 알뜰폰 시장 점유율을 50% 이내로 제한한 등록조건 산정 방식에 왜곡이 심해졌다는 지적이 나왔다.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양정숙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 말 알뜰폰 휴대폰회선 가입자는 687만명에서 지난해 말 609만명으로 11.3% 감소했다. 반면에 같은 기간 IoT회선 가입자는 87만명에서 426만명으로 384.8% 급증했다.
지난 2월 말 휴대폰 회선 가입자 중 통신 자회사의 가입자 점유율은 전체 631만명 중 321만명으로 점유율 51%를 넘어섰다. 하지만 IoT를 포함한 알뜰폰 전체 시장에서 자회사 점유율은 31.8%로 왜곡 현상이 나타났다.
통신 자회사 휴대폰회선 가입자 점유율은 계속 증가했다. 2019년 말 37.1%에서 2020년말 42.4%로 5.3%포인트 증가했고, 지난해 말에는 전년 대비 8.4%포인트(P) 증가한 50.8%였다. IoT회선을 포함하면 자회사의 점유율은 2019년말 36.1%이었지만 2020년말에는 31.4%로 4.7%P 하락했고 지난해 말 31.9%, 올해 2월에는 31.8%로 줄었다.
이 같은 현상은 알뜰폰 휴대폰 회선 가입자가 전반적으로 줄고 있는 상황에서 IoT회선 가입자는 점차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IoT 회선 가입자는 2019년 말 87만명에서 2020년말 300만명으로 3.4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해 말에는 가입자가 더 늘어 426만명, 올해 2월에는 448만명까지 늘어났다.
통신 자회사 IoT회선 가입자 수는 2019년 말 25만명에서 올해 2월에는 21만명으로 4만명이 줄었다. 같은 기간 중소·독립계 알뜰폰 사업자의 경우는 IoT회선 가입자가 62만명에서 427만명으로 6.8배 급증했다.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IoT회선 가입자 95.2%가 중소 사업자에 집중된 것으로 분석된다.
양 의원은 “현행 점유율 산정방식은 IoT회선 가입자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무용지물이 됐다”며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고군분투하는 중소 알뜰폰 사업자를 위해 현행 점유율 산정방식을 즉시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예린기자 yesl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