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장관, 소부장 협력모델 성공사례 '율촌화학' 현장 방문

소부장 협력모델인 전기차용 이차전지 배터리 파우치 국산화
소부장 대일의존도 완화 가속화와 국내 소부장경쟁력 향상 성과

Photo Image
문승욱 산업부 장관(앞줄 가운데)이 율촌화학 이차전지 생산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2019년 7월 일본의 수출 규제 강화 조치 이후) 지난 2년여 시간은 우리 소부장 산업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앞으로 공급망, 탄소중립, 디지털 전환 등 우리 산업경제가 직면한 과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는 소부장 산업이 될 수 있도록 '소부장 협력 모델' 성공 확산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습니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지난 28일 소부장 협력모델 성공 기업인 경기도 안산소재 율촌화학을 직접 방문해 생산 시설을 둘러보면서 성과를 눈으로 점검하고 관련 민·관 관계자와 가진 간담회 자리에서 이같이 소감을 밝혔다.

이날 행사엔 문 장관을 비롯한 소부장 협력국장, LG에너지솔루션, 율촌화학, 대진기계공업, LS메카피온,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소부장전문위원장 등 소부장 협력 모델 관련 민관 관계자가 참석했다.

소부장 협력모델은 외산 의존도가 높은 소부장 핵심전략품목의 조기 국산화를 위해 수요-공급기업간 벨류체인 협력을 전제로 기술개발, 세제·금융, 규제완화 등 패키지형태로 지원하는 정책이다.

율촌화학은 2019년 일본 수출 규제 이후 국내 이차전지 기업과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현재 전량 일본으로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전기차(EV)용 배터리 파우치(이차전지 보호 최종 외장재)를 국산화하는데 성공, 다양한 소부장 협력모델 성과 중에서 대표 모범 사례를 만든 기업으로 손꼽힌다.

알루미늄 필름에 표면처리, 합지, 코팅 등 정밀 공정을 거쳐 양산되는 이차전지 파우치는 율촌화학이 국산화하기 까지 전략 일본에서 수입했다. 2019년 국내 시장 규모는 7000만㎡에서 2023년 2억 3000만㎡로 전망된다.

율촌화학은 소부장 협력모델 과제에 참가, EV용 이차전지 파우치 소재 국산화와 함께 파우치 생산장비도 국산화함으로써 현재 연간 3000만㎡ 파우치 생산 능력을 확보했다. 향후 최대 1억㎡ 파우치 생산 능력이 가능해 국내·해외시장 점유율을 상당부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율촌화학의 EV용 파우치 소재 개발 성과 사례는 국내 대기업 중심으로 치우진 이차전지 완제품 제조 경쟁력에 비해 부족하다고 평가받던 이차전지 후방 산업 관련 소부장 분야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Photo Image
문승욱 산업부 장관을 비롯한 소부장 협력 모델 관계자들이 율촌화학 전시쇼케이스에서 성과보고를 듣고 있다.

이번 EV용 파우치 소재개발 협력모델과제는 지난 제4차 소부장경쟁력강화위원회(2020년 5월)에 협력모델로 선정돼 국비 73억원이 투입된 과제이다. 이차전지 파우치 관련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협력이 이뤄진 모범사례이다.

소부장 협력 모델엔 생산장비(복합코팅장비) 개발을 위해 국내 부품기업인 L사는 서보모터, 컨트롤러 등 핵심 부품을, 장비기업인 D사는 생산장비를 개발했다. 부품·장비 성능평가를 위해 기계연구원과 국내 이차전지기업이 참여했다.

또한, 국내 이차전지 기업은 율촌화학의 파우치 수요 파트너로 참여해 파우치 소재개발과 파우치 생산을 위해 밸류체인에 관여했다. 정부는 기술개발 정부출연, 정책금융지원, 세제지원, 인력지원, 행정절차 신속처리 등을 통해 이번 협력모델의 성공적 달성을 뒷받침했다.

Photo Image
문승욱 산업부 장관(앞줄 왼쪽부터 5번째) 을 비롯한 기업 기관 관계자들이 소부장협력 모델 성과 간담회에 참석한 후 기념 촬영했다.

정부는 2019년 11월 소부장 협력모델을 처음 도입 후 그간 100대 핵심전략품목 중심으로 현재까지 아차전지파우치 등 총 45개의 협력모델을 발굴하고 2025년까지 약 3800억원의 R&D 자금을 지원한다. 환경·노동 등 규제특례, 세액감면 등 세제, 정책금융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고 있다.

아직 진행 중인 과제가 다수이나 지난 2년여 동안 협력모델을 통해 대·중소기업 등 수요·공급기업간 협력사례가 확산되고 있다. △M사 반도체 정전척·히터, Y사 전기차용 이차전지 파우치 등 조기 국산화 △14개 차량용반도체 긴급양산평가, 레벨4 자율주행차 공급망 내재화 등 차량용 반도체 수급 △영구자석, 인조흑연, 니켈분말, 티타늄 등 국내 공급망 확보 대응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정부는 협력 모델 발굴 과제 종료시 설비투자·해외 M&A 등 2조 4000억원 수준의 신규 투자 발생, 약 3700명의 고용창출 효과, 약 3조원의 국내 생산 성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협력모델을 지속 발굴·지원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일본의 수출 규제 이후 우리나라 소부장 산업이 100대 핵심품목에 대한 대일 의존도가 2019년 30.9%에서 2021년 24.9%로 6% 포인트 크게 감소하고, 우리 소부장 기업의 매출이 증가하는 등 성과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어 “불화수소·EUV레지스트·불화폴리이미드 등 일본 수출규제 3대 품목은 수입다변화·대체소재 채택 등을 통해 부품 소재 수급 차질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소부장 전체 품목의 대일본 의존도는 2019년 17.1%에서 2021년 15.9%로 1.2% 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파악했다.


안수민기자 smah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