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0원짜리 시키는데 배달비 1만원’···배달플랫폼 배달비 공시 제도 소식에 화들짝
이억원 기획재정부 차관은 지난 21일 물가관계차관회의에 참석해 “2월부터는 소비자단체협의회가 매달 1회 배달수수료 현황을 조사해 소비자원 홈페이지 등에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2월부터 배달비 공시제도를 도입한다는 소식에 배달의 민족(이하 배민), 요기요 등 배달 중개 플랫폼들이 당혹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최근 일부 배달플랫폼에서는 배달비 상승으로 5000원짜리 메뉴를 시키는데 배달비가 1만원이 넘는 경우가 발생했다. 배보다 배꼽이 크게 된 것이다.
업계에 따르면 배민과 요기요는 단순 배달 중개 모델과 주문부터 배달까지 책임지는 통합 모델까지 모두 하고 있다. 쿠팡이츠는 통합 모델 한가지로 운영하고 있다.
통합 모델은 고객과 가맹점주들이 5000원 내에서 배달비는 나눠 내고 나머지 비용은 플랫폼 사업자가 부담한다. 먼거리 배달(거리 할증)일 경우를 감안해도 대부분 배달비가 5000~6000원선이다.
반면 단순 배달 중개의 경우, 중개플랫폼은 배달 중개만 하기 때문에 중개수수료만 받고, 배달은 배달 대행사가 맡는다. 최근 배달 대행사는 기본 배달비는 물론 피크시간, 휴일, 연휴, 날씨 등에 따른 할증은 물론 아파트 할증 비용까지 요구하고 있어 가맹점주들과 고객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주문부터 배달까지 모두 책임지는 배민1과 쿠팡이츠는 이런 할증을 직접 부담하고 있다. 특히 배민은 최근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서비스일반노동조합과 협상안에 최종 서명하면서 배달료 산정 기준을 직선거리에서 내비게이션 실거리 기준으로 변경해 가맹점주들의 배달비 부담이 커질 것이란 우려가 커지자, 증가하는 배달비는 배민이 부담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쿠팡이츠는 이미 실거리로 산정한다”며 배민을 압박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배달비를 공시하면 쿠팡이츠는 900원에서 6000원 사이로 공시되지만, 배달 중개만 하는 서비스의 경우 1만원 이상 배달비가 그대로 노출될 가능성이 커진다. 이 경우 배달대행사가 요구하는 배달비를 모두 내면서 배달비는 낮아 보여야 하기 때문에 음식값을 높일 우려도 제기된다.
서울에서 중식당을 운영하는 A씨는 “배민1과 일반 배달을 모두 운영하고 있는데 배민1이 배달비가 더 쌀 때도 있다”며 “배달대행사가 1만원 요구해서 1만원을 받는 것인데 배달비 공시로 배달비가 높아 보여 고객이 주문하지 않게 되면 음식값에 배달비를 반영할 수밖에 없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렇게 되면 배민1은 빠른데 더 싸고 일반 배달은 느린데 더 비싸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배달비 공시제란?
배달 플랫폼별(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등)로 온라인에서 비교할 수 있도록 배달비를 조사해 공개하는 제도이다. 배달 플랫폼별 배달비 현황, 가격차이, 음식별 배달비 등의 정보를 매달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배달비 공개 방법은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가 배달비를 조사해 온라인 사이트에 매달 1회 공시하는 방법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전자신문인터넷 소성렬 기자 hisabisa@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