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데이터와 시스템을 기반으로 정부 운영 방식을 근본적으로 혁신하겠다고 밝혔다. 데이터 분석 기반 과학적 의사결정을 추진하고 공공데이터 개방을 확대하는 한편 공공 클라우드 전환도 속도를 높인다.
행안부는 '국민이 안전한 나라, 골고루 발전하는 지역'을 비전으로 '2022년 업무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일상회복, 균형발전, 선도국가 도약을 목표로 3대 핵심추진 과제와 16개 세부 과제를 선정했다.
3대 핵심추진 과제 중 '정부혁신' 분야에서는 데이터 기반 과학적 행정 구현, 공공부문 디지털역량 제고, 생활 밀착형 서비스 확대, 국민 참여 활성화 기반 구축,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정부 운영을 추진한다.
'데이터 기반 과학적 행정 구현'을 위해 최근 설치한 정부통합데이터분석센터를 활용, 각 기관 데이터 분석 수요를 지원한다. 정부 내 공동활용 데이터 등록·관리, 범정부 데이터 분석·활용을 수행하는 '데이터통합관리 플랫폼'을 2024년까지 구축한다. 민간 수요가 높은 공공데이터를 중점 개방한다.
'공공부문 디지털 역량 제고' 과제에서는 공공 클라우드 전환을 지속 추진한다. 2년차인 새해에는 2402억원을 들여 2149개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화한다.
공무원 2PC를 1인 1노트북으로 시범 전환하고, 5세대(5G) 이동통신 정부망을 도입한다. 영상회의 동시접속자를 확대하는 한편 PC와 모바일 모두 가능한 영상회의 시스템을 도입한다.
'생활 밀착형 서비스 확대'를 위해 10종·3종인 '국민비서' 알림서비스와 채널을 각각 38종·5 종 이상으로 확대한다. 온·오프라인에서 이용 가능한 모바일 신분증 발급을 확대, 비대면 신원증명을 구현한다. 공공 마이데이터는 올해 24종에서 새해 35종으로 늘린다.
'국민 참여 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 과제에서는 '국민참여활성화법' 제정을 추진하고 온라인 청원시스템을 구축해 청원제도를 실시한다. 정책제안 플랫폼인 '광화문1번가'와 다른 참여플랫폼의 연계를 늘려 국민 참여를 확대한다.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정부 운영'을 위해서는 자율좌석제 도입 등 업무공간 효율화를 도모하고 미래지향형 정부청사 구축방안을 마련한다. 정부혁신 데이터베이스(DB) 등 우수사례를 국민이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정부혁신 디지털 아카이빙을 추진한다. 새해 11월에는 '디지털 네이션스 장관회의'를 개최, 정부 혁신 성과를 국제적으로 공유·확산할 계획이다.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은 “새해 행정안전부는 빈틈없는 방역체계를 바탕으로 일상회복 연착륙을 추진하고, 국민이 일상생활 속에서 안전을 체감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균형발전을 본격화하고 자치분권 2.0이 지역 현장에 정착하도록 하겠다”면서 “정부가 데이터와 시스템을 근간으로 운영되도록 정부혁신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